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산림 여건을 분석하고 제6차 지역산림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충남은 고령화 인구 증가 도시화 등 사회구조 변화와 기후변화 남북관계 변화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산림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산림 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특히 산림을 통한 삶의 질 향상 탄소흡수원 확보 산림재해 대응 등의 기능이 강조된다
충남 산림은 전국 대비 64의 면적을 차지하며 사유림 비율이 87로 매우 높아 민간 중심의 산림경영이 요구된다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는 침엽수림 감소 병해충 증가 산림재해 빈도 증가가 우려되며 이에 대응한 수종 전환 및 산림 탄소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목재 바이오매스 활용 친환경 건축 자재 개발 등 산림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및 산업 전략도 필요하다
산림의 평균 임목축적은 전국보다 낮은 수준이며 혼효림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주된 침엽수종이며 활엽수는 상수리나무 밤나무 등이 주요 수종으로 나타난다 산림의 영급은 ⅢⅣ영급이 60 이상으로 중장령림에 편중되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고령림화가 예상된다
현재 산림기본계획은 국가 주도로 상위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은 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지역의 특수성과 실정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유역 단위 계획 수립 지역주민 참여 확대 거버넌스 체계 강화 등이 요구된다 특히 산림경영계획과 연계한 지역기반 산림관리체계 전환이 필요하다
충남 산림의 권역은 해안권역 금강하류권역 금강상류권역으로 구분되며 각 권역은 생태적경제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해안권역은 해안 생태계 보전 금강하류는 역사문화자원 연계 금강상류는 산림휴양 중심의 전략이 요구된다 권역별 임상 분석을 통해 수종 다양성 및 임목축적의 차이가 확인되며 권역 특화형 사업 도입이 제안된다
결론적으로 충남 산림정책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지역특화 전략 주민참여형 계획 수립 기후변화 대응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산림의 다기능성을 극대화하고 지역 경제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산림정책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충남 산림은 전국 대비 64의 면적을 차지하며 사유림 비율이 87로 매우 높아 민간 중심의 산림경영이 요구된다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는 침엽수림 감소 병해충 증가 산림재해 빈도 증가가 우려되며 이에 대응한 수종 전환 및 산림 탄소관리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목재 바이오매스 활용 친환경 건축 자재 개발 등 산림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및 산업 전략도 필요하다
산림의 평균 임목축적은 전국보다 낮은 수준이며 혼효림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주된 침엽수종이며 활엽수는 상수리나무 밤나무 등이 주요 수종으로 나타난다 산림의 영급은 ⅢⅣ영급이 60 이상으로 중장령림에 편중되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고령림화가 예상된다
현재 산림기본계획은 국가 주도로 상위계획을 수립하고 지역은 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지역의 특수성과 실정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유역 단위 계획 수립 지역주민 참여 확대 거버넌스 체계 강화 등이 요구된다 특히 산림경영계획과 연계한 지역기반 산림관리체계 전환이 필요하다
충남 산림의 권역은 해안권역 금강하류권역 금강상류권역으로 구분되며 각 권역은 생태적경제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관리전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해안권역은 해안 생태계 보전 금강하류는 역사문화자원 연계 금강상류는 산림휴양 중심의 전략이 요구된다 권역별 임상 분석을 통해 수종 다양성 및 임목축적의 차이가 확인되며 권역 특화형 사업 도입이 제안된다
결론적으로 충남 산림정책은 지속가능한 산림경영 지역특화 전략 주민참여형 계획 수립 기후변화 대응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산림의 다기능성을 극대화하고 지역 경제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산림정책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목차
I 연구 개요
II 산림기본계획
III 지역 여건 분석
IV 지역산림계획 고려사항
V 지역 특화사업
VI 정책제언
부록 지역별 특화사업 소개
II 산림기본계획
III 지역 여건 분석
IV 지역산림계획 고려사항
V 지역 특화사업
VI 정책제언
부록 지역별 특화사업 소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권지수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3. 20
충청남도 지역 대기환경기준 설정 기초 연구 2016. 09. 08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7. 02. 16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6. 09. 30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6. 08. 22
충남, 행복한 1.5℃(대기환경분야) 2016. 07. 01
-
이상신,표정기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산림부문 정책지원 간담회(표정기) 2016. 06. 29
충청남도 산림탄소상쇄사업 활성화 워크숍(김민지, 표정기) 2016. 05. 24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2016. 07. 08
기후변화 공개 강연회 2015. 12. 29
지역 기후변화센터 운영방안 세미나 2016.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