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자연환경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립된 실천계획이다 국가 차원에서 제정된 제3차 자연환경보전 기본계획20162025에 따라 충남은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광역 및 지역 산림생태축 논습지 주요 하천 야생생물 서식지 등 중요 생태자원의 통합적 보전을 목표로 한다
계획은 먼저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 지도를 기반으로 한 정밀 생태자료의 구축 및 유지관리를 제시하며 이를 통해 지역 생태정책 수립의 과학적 기초를 마련한다 중요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해서는 멸종위기종을 중심으로 한 서식환경 유지와 복원 방향이 제시되며 예를 들어 수달 삵 금개구리 흰수마자 등 각 동물의 서식특성에 맞는 맞춤형 보호방안이 포함된다
산림과 하천 논습지 등은 각각의 생태경관적 가치에 따라 평가선정되었으며 생태축 형성 및 연결성 강화를 위한 복원 우선순위가 설정되었다 산림은 생태가치 연계성 도민 정서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등급화하고 하천은 멸종위기종 분포 자연성 생태지표 등을 기준으로 보전 대상지를 정하였다 논습지는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통해 Ⅰ등급 논습지를 중심으로 최소 보전면적을 설정하였다
복원 및 관리방안으로는 금강의 수조류 서식지 복원 멸종위기어류 보호 박쥐 은신처 조성 양서파충류 서식지 보호 등이 제안된다 또한 희귀식물의 서식지 보호와 도시 생태축 확보를 위한 토지 매입 주민참여형 모니터링과 제도적 개선을 통해 자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예산조달 측면에서는 정부의 생태보전협력금 활용 토지매입 생태통로 설치 서식지 복원 사업 등을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이 포함된다 아울러 지방정부의 역량 강화와 지역 연구소 및 주민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생태계서비스 정책 추진이 강조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와 같은 인센티브 기반 정책 도입도 제안되며 법제도 개선을 통한 정책의 지속성과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계획은 충청남도의 자연환경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고 있으며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지역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환경복지 구현을 지향하고 있다
계획은 먼저 도시생태현황지도비오톱 지도를 기반으로 한 정밀 생태자료의 구축 및 유지관리를 제시하며 이를 통해 지역 생태정책 수립의 과학적 기초를 마련한다 중요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해서는 멸종위기종을 중심으로 한 서식환경 유지와 복원 방향이 제시되며 예를 들어 수달 삵 금개구리 흰수마자 등 각 동물의 서식특성에 맞는 맞춤형 보호방안이 포함된다
산림과 하천 논습지 등은 각각의 생태경관적 가치에 따라 평가선정되었으며 생태축 형성 및 연결성 강화를 위한 복원 우선순위가 설정되었다 산림은 생태가치 연계성 도민 정서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등급화하고 하천은 멸종위기종 분포 자연성 생태지표 등을 기준으로 보전 대상지를 정하였다 논습지는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통해 Ⅰ등급 논습지를 중심으로 최소 보전면적을 설정하였다
복원 및 관리방안으로는 금강의 수조류 서식지 복원 멸종위기어류 보호 박쥐 은신처 조성 양서파충류 서식지 보호 등이 제안된다 또한 희귀식물의 서식지 보호와 도시 생태축 확보를 위한 토지 매입 주민참여형 모니터링과 제도적 개선을 통해 자연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예산조달 측면에서는 정부의 생태보전협력금 활용 토지매입 생태통로 설치 서식지 복원 사업 등을 위한 재원 확보 방안이 포함된다 아울러 지방정부의 역량 강화와 지역 연구소 및 주민조직과의 협력을 통해 실효성 있는 생태계서비스 정책 추진이 강조된다 생태계서비스지불제와 같은 인센티브 기반 정책 도입도 제안되며 법제도 개선을 통한 정책의 지속성과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계획은 충청남도의 자연환경을 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을 담고 있으며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지역 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환경복지 구현을 지향하고 있다
목차
I 계획의 개요
1 계획의 수립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성격
3 계획의 역할
4 계획의 범위
II 충청남도 자연환경의 현황과 전망
III 충청남도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20172021
31 자연환경 DB의 지속적 유지ㆍ관리
32 중요 야생동물의 지속적 관리
33 산림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선정
34 하천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선정
35 습지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선정
36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
IV 충청남도 자연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예산계획
41 정부자본 활용에 의한 재원조달
42 민간자본 유치에 의한 재원조달
1 계획의 수립배경 및 목적
2 계획의 성격
3 계획의 역할
4 계획의 범위
II 충청남도 자연환경의 현황과 전망
III 충청남도 자연환경보전 실천계획20172021
31 자연환경 DB의 지속적 유지ㆍ관리
32 중요 야생동물의 지속적 관리
33 산림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선정
34 하천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선정
35 습지 생태ㆍ경관보전지역 선정
36 자연환경의 효율적 관리
IV 충청남도 자연환경보전 실천을 위한 예산계획
41 정부자본 활용에 의한 재원조달
42 민간자본 유치에 의한 재원조달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