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로컬푸드 인지도 제고와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통합 인증 브랜드BI를 개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과 실행계획을 제시한다 현재 충남 각 시군별로 다수의 개별 브랜드가 혼재되어 소비자 혼란을 초래하고 있어 광역 차원의 통합 브랜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했다 통합 브랜드는 각 시군 대표브랜드와 공동 사용되며 지리적 표시 인증 품질인증 직매장 판매 허용 등을 통해 소비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충남의 로컬푸드 직매장은 2013년 5곳에서 2016년 35곳으로 증가하였으며 당진 천안 아산 등이 주요 설치 지역이다 직매장은 농업인이 직접 수확 포장 진열까지 담당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직거래를 통해 지역성과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전국 지자체의 농산물 브랜드 수가 5000개에 달할 정도로 많아 충남 역시 통합브랜드를 통해 차별화된 이미지와 홍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통합브랜드의 적용 방향으로는 로컬푸드 품질인증 유통과정의 일원화 산지유통시설 확충 홍보사업 확대 등이 포함되며 브랜드 디자인은 충남의 자연환경을 모티브로 일관된 이미지와 신뢰성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브랜드 네이밍 심벌 포장디자인 상표 출원 활용 교육까지 전 과정을 포함한 통합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가 제시된다
단계별 추진계획은 구축기2018년 성장기2019년 정착기2020년로 구분된다 구축기에는 인증제 도입과 매뉴얼 제작이 포함되며 성장기에는 포장재 공공시설물 SNS 등에서 브랜드를 구현하고 진단평가 시스템을 도입한다 정착기에는 브랜드 평가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운영 기반을 구축하여 통합브랜드의 도내 전반 확산을 목표로 한다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기존 활동으로는 꾸러미사업 농민장터 CSA 농가식당 지역생협 학교급식지원센터 커뮤니티 키친 등이 있으며 이는 생산자소비자 간 신뢰 기반을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해외 사례로는 일본의 도로의 역이 대표적이며 판매장과 관광자원을 결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 로컬푸드의 통합브랜드 구축은 브랜드의 신뢰성 확보와 소비자 혼란 해소 농산물 부가가치 증대 농가소득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 과제로 단계적 추진과 지속적인 사후관리 정책적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정착이 필요하다
충남의 로컬푸드 직매장은 2013년 5곳에서 2016년 35곳으로 증가하였으며 당진 천안 아산 등이 주요 설치 지역이다 직매장은 농업인이 직접 수확 포장 진열까지 담당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직거래를 통해 지역성과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 핵심이다 그러나 전국 지자체의 농산물 브랜드 수가 5000개에 달할 정도로 많아 충남 역시 통합브랜드를 통해 차별화된 이미지와 홍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통합브랜드의 적용 방향으로는 로컬푸드 품질인증 유통과정의 일원화 산지유통시설 확충 홍보사업 확대 등이 포함되며 브랜드 디자인은 충남의 자연환경을 모티브로 일관된 이미지와 신뢰성을 전달하도록 설계된다 브랜드 네이밍 심벌 포장디자인 상표 출원 활용 교육까지 전 과정을 포함한 통합 브랜드 개발 프로세스가 제시된다
단계별 추진계획은 구축기2018년 성장기2019년 정착기2020년로 구분된다 구축기에는 인증제 도입과 매뉴얼 제작이 포함되며 성장기에는 포장재 공공시설물 SNS 등에서 브랜드를 구현하고 진단평가 시스템을 도입한다 정착기에는 브랜드 평가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운영 기반을 구축하여 통합브랜드의 도내 전반 확산을 목표로 한다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기존 활동으로는 꾸러미사업 농민장터 CSA 농가식당 지역생협 학교급식지원센터 커뮤니티 키친 등이 있으며 이는 생산자소비자 간 신뢰 기반을 강화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해외 사례로는 일본의 도로의 역이 대표적이며 판매장과 관광자원을 결합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 로컬푸드의 통합브랜드 구축은 브랜드의 신뢰성 확보와 소비자 혼란 해소 농산물 부가가치 증대 농가소득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 과제로 단계적 추진과 지속적인 사후관리 정책적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정착이 필요하다
목차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연구범위
III 로컬푸드 개념 및 현황분석
IV 농특산물 브랜드 현황 문제점 및 활동현황
V 충남 로컬푸드 적용방향 및 통합 BI 개발방향
VI 통합브랜드 개발 프로세스
VII 통합브랜드 정착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
참고자료
II 연구범위
III 로컬푸드 개념 및 현황분석
IV 농특산물 브랜드 현황 문제점 및 활동현황
V 충남 로컬푸드 적용방향 및 통합 BI 개발방향
VI 통합브랜드 개발 프로세스
VII 통합브랜드 정착을 위한 단계별 추진계획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충훈
홍성군 공공디자인 통합관리 워크숍(이충훈,남택영,황종현,윤세운) 2016. 07. 01
태안군의 발전방향과 과제 (이충훈,이인배,한상욱,조봉운,박철희,임명재) 2004. 12. 21
태안군 관문가꾸기 기본구상 워크숍(이충훈,황종현,조경수,남택영,정현희) 2015. 07. 31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샵(조주연,윤일,이충훈) 2014. 06. 11
제3차 충남현장포럼 - 홍성 공공디자인 (김윤호,이충훈,김동하) 2016. 10. 12
충남공공디자인클리닉센터 하반기 워크숍 (이충훈, 최명식, 김상열) 2009. 12. 11
-
신선하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태안관문가꾸기 기본구상 2015. 05. 14
제3차 충남 보육발전 5개년 계획서 표지 디자인 2015. 12. 01
부여군 국민 디자인 과제 활성화 용역 2018. 05. 14
금산군 인삼약초건강관의 전략적 활용 방안 2024. 0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