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2017일반-47] 가칭)전국 자원봉사교육관 건립 방안 검토 연구](/images/main/contents/mi_cover2.jpg)
내용
이 보고서는 태안군이 추진 중인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의 필요성과 추진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태안은 2007년 유류유출사고 당시 전국에서 123만 명의 자원봉사자가 참여한 상징적 지역으로 이를 기념하고 자원봉사 활동의 거점으로 기능할 시설이 요구된다 기존 유류피해극복기념관은 기념과 전시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원봉사 교육과 활동 지원 기능이 미흡하여 별도의 교육관 건립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자원봉사교육관은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역량 강화 일반인 대상 자원봉사 인식 확산 전국 자원봉사 거버넌스 구축 등을 목적으로 하며 자원봉사 문화를 확산하고 태안을 자원봉사 메카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제안된다 이 시설은 교육연구 행정지원 교류협력 기능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문화시설 및 외부 다목적 공간과 연계되어 복합커뮤니티 공간으로 계획된다
시설 규모는 숙박시설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건축면적은 10321773 연면적은 20223108로 계획된다 내부에는 강당 회의실 정보시설 동아리방 북카페 VR체험관 등이 포함되며 외부에는 야외 테마파크와 주차장을 조성한다 부지계획은 유류피해극복기념관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배치되며 공간 효율성과 환경보전성 개발가능성을 기준으로 설계된다
재원은 전액 국비 또는 국도군비 매칭 방식 민간 모금 등을 통해 조달 가능하며 운영은 태안군의 직영을 원칙으로 하되 유류피해극복기념관과 인력 및 운영체계를 일부 공유하는 방식이 제시된다 운영인력은 원장 교수 등 전문 인력을 포함해 78명 규모가 적정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자원봉사교육관 건립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유류피해극복기념관의 기능 한계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 유류피해극복 메모리얼파크라는 통합 마스터플랜 수립이 요구된다 이는 교육 전시 체험 관광 기능을 갖춘 복합 커뮤니티 공간으로 태안을 자원봉사 상징지역으로 정착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원봉사교육관은 단순한 교육시설을 넘어서 자원봉사 문화 확산 지역 이미지 제고 전국 자원봉사 네트워크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류피해극복기념관과 연계하여 보다 전략적이고 실효성 있는 개발이 요구된다
자원봉사교육관은 자원봉사자의 교육과 역량 강화 일반인 대상 자원봉사 인식 확산 전국 자원봉사 거버넌스 구축 등을 목적으로 하며 자원봉사 문화를 확산하고 태안을 자원봉사 메카로 육성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제안된다 이 시설은 교육연구 행정지원 교류협력 기능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문화시설 및 외부 다목적 공간과 연계되어 복합커뮤니티 공간으로 계획된다
시설 규모는 숙박시설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지며 건축면적은 10321773 연면적은 20223108로 계획된다 내부에는 강당 회의실 정보시설 동아리방 북카페 VR체험관 등이 포함되며 외부에는 야외 테마파크와 주차장을 조성한다 부지계획은 유류피해극복기념관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배치되며 공간 효율성과 환경보전성 개발가능성을 기준으로 설계된다
재원은 전액 국비 또는 국도군비 매칭 방식 민간 모금 등을 통해 조달 가능하며 운영은 태안군의 직영을 원칙으로 하되 유류피해극복기념관과 인력 및 운영체계를 일부 공유하는 방식이 제시된다 운영인력은 원장 교수 등 전문 인력을 포함해 78명 규모가 적정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자원봉사교육관 건립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유류피해극복기념관의 기능 한계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며 중장기적으로 유류피해극복 메모리얼파크라는 통합 마스터플랜 수립이 요구된다 이는 교육 전시 체험 관광 기능을 갖춘 복합 커뮤니티 공간으로 태안을 자원봉사 상징지역으로 정착시키는 기반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원봉사교육관은 단순한 교육시설을 넘어서 자원봉사 문화 확산 지역 이미지 제고 전국 자원봉사 네트워크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류피해극복기념관과 연계하여 보다 전략적이고 실효성 있는 개발이 요구된다
목차
I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사업 개요
1 유류피해극복 기념관 건립 추진 현황
2 유류피해극복 기념관의 한계
3 유류피해극복 기념관 개선과제
II 가칭자원봉사교육관 필요성 및 위상
1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필요성
2 가칭자원봉사교육관 위상 및 역할
3 가칭자원봉사교육관의 미래상
III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방안
1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기본방향
2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사업 구상안
3 가칭자원봉사교육관 투자계획 구상안
IV 정책제언
1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관련 인식 제고 필요
2 유류피해극복 메모리얼파크 조성계획 수립마스터플랜
참고자료
1 유류피해극복 기념관 건립 추진 현황
2 유류피해극복 기념관의 한계
3 유류피해극복 기념관 개선과제
II 가칭자원봉사교육관 필요성 및 위상
1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필요성
2 가칭자원봉사교육관 위상 및 역할
3 가칭자원봉사교육관의 미래상
III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방안
1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기본방향
2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사업 구상안
3 가칭자원봉사교육관 투자계획 구상안
IV 정책제언
1 가칭자원봉사교육관 건립 관련 인식 제고 필요
2 유류피해극복 메모리얼파크 조성계획 수립마스터플랜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유예나
충남 중심지 간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2018. 01. 01
도시정책연구회 제1차 세미나(CNI세미나2017-043) (이상호) 2017. 05. 25
청양군민 대토론회 2017. 09. 22
『축구장』 조성사업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7. 09. 01
소방복합시설 조성 입지선정 및 세부추진계획 연구 용역 2016. 01. 18
충청남도 제2차 주한미군 공여구역주변지역 발전종합계획 수립 연구 2016. 05. 23
-
이상준,임형빈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도시정책연구회 제1차 세미나(CNI세미나2017-043) (이상호) 2017. 05. 25
충남 중심지 간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2018.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