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충청남도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제3차 폐기물처리 기본계획을 수정해 수립하였으며 이는 폐기물 발생 억제부터 재활용 에너지화 적정처리까지의 정책을 포함하는 법정 장기계획이다 계획은 충남의 폐기물 처리 여건과 지역 특성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다 2012년 수립된 기존 계획은 인구와 생산 증가 자원순환기본법 시행 등으로 인해 변화된 상황에 맞게 조정이 요구되었다
충청남도는 중서부에 위치하며 저지대 비율이 높고 금강과 서해안 등 다양한 수계와 풍부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 지역이 생태자연도 12등급으로 생태적으로 우수하며 국립공원과 도시공원이 고르게 분포한다 인구는 대체로 증가하고 있으며 천안 아산 당진 등의 도시지역은 인구와 경제 규모 모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폐기물 발생량은 20112015년 사이 꾸준히 증가해 1일 평균 45000톤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사업장폐기물이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당진 태안 천안 등의 산업도시에서 발생량이 크며 배출시설계와 건설계 폐기물이 대부분이다 지정폐기물도 주로 북부 산업도시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은 전체의 약 46로 나타났으며 생활계폐기물은 천안 아산 당진 등 대도시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천안 논산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음식물류 폐기물은 충남 전체 발생량의 24를 차지하였다 재활용 가능 자원 분리배출률은 시군별로 차이가 컸으며 성상별 분석 결과 가연성 비중이 가장 높았다
폐기물 감량과 자원순환을 위한 대응책으로 생활폐기물 감량 유도 재활용 확대 지정폐기물의 안전관리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지역 간 처리시설의 통합 운영 효율적인 권역화 시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실행이 강조되었다 폐기물 관련 통계의 정확성 제고와 정책 이행체계 마련도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종합적으로 충청남도는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를 위해 법정계획의 틀 아래 지역 특성과 사회경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며 도민과 함께하는 폐기물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목표로 한다
충청남도는 중서부에 위치하며 저지대 비율이 높고 금강과 서해안 등 다양한 수계와 풍부한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 지역이 생태자연도 12등급으로 생태적으로 우수하며 국립공원과 도시공원이 고르게 분포한다 인구는 대체로 증가하고 있으며 천안 아산 당진 등의 도시지역은 인구와 경제 규모 모두 큰 비중을 차지한다
폐기물 발생량은 20112015년 사이 꾸준히 증가해 1일 평균 45000톤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사업장폐기물이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당진 태안 천안 등의 산업도시에서 발생량이 크며 배출시설계와 건설계 폐기물이 대부분이다 지정폐기물도 주로 북부 산업도시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생활폐기물은 전체의 약 46로 나타났으며 생활계폐기물은 천안 아산 당진 등 대도시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천안 논산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음식물류 폐기물은 충남 전체 발생량의 24를 차지하였다 재활용 가능 자원 분리배출률은 시군별로 차이가 컸으며 성상별 분석 결과 가연성 비중이 가장 높았다
폐기물 감량과 자원순환을 위한 대응책으로 생활폐기물 감량 유도 재활용 확대 지정폐기물의 안전관리 등이 제시되었다 특히 지역 간 처리시설의 통합 운영 효율적인 권역화 시민 참여 확대를 통한 정책 실행이 강조되었다 폐기물 관련 통계의 정확성 제고와 정책 이행체계 마련도 주요 과제로 지적되었다
종합적으로 충청남도는 지속 가능한 폐기물 관리를 위해 법정계획의 틀 아래 지역 특성과 사회경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며 도민과 함께하는 폐기물 자원순환사회 실현을 목표로 한다
목차
I 제1장 기본수정계획의 개요
1 계획의 개요
2 계획의 기간 및 범위
3 계획의 체계
II 제2장 지역현황 및 특성분석
1 지역특성
2 자연환경
3 인문사회경제 환경
III 제3장 폐기물관리 현황 및 관련계획 검토
1 폐기물 관리현황
2 국내 및 국외 폐기물 관리 현황
3 폐기물 관련계획
1 계획의 개요
2 계획의 기간 및 범위
3 계획의 체계
II 제2장 지역현황 및 특성분석
1 지역특성
2 자연환경
3 인문사회경제 환경
III 제3장 폐기물관리 현황 및 관련계획 검토
1 폐기물 관리현황
2 국내 및 국외 폐기물 관리 현황
3 폐기물 관련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