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전국적인 경향보다 인구감소 과소화가 선행하여 뚜렷하게 나타날 면소재지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의 인식 변화와 구체적인 사업 추진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전제하에 면소재지의 특성 기능뿐만 아니라 배후농촌마을을 포섭하고 지원하는 정주체계상의 중요한 영역으로서 그 개발 정비상 체계적인 접근방안을 모색코자 하였다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6
제2장 관련 연구 및 정책 동향 9
1 정주체계 관련 연구 9
1 정주체계관련 이론 9
2 정주체계 정주공간으로서의 미래 동향 관련 연구 11
2 면소재지 관련 연구 17
1 면소재지 정의 관련 연구 17
2 면소재지의 기능 관련 연구 19
3 면소재지 발전 방향 관련 연구 21
3 관련 정책 동향 23
1 포괄보조금제도 도입 이전 정책 23
2 포괄보조금제도 도입 이후MB정부 관련 정책 추진 실태 27
3 기존 관련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 34
4 사례 조사 37
1 영국의 마켓타운 정책 37
2 일본 지역재생정책 40
3 일본의 작은거점 만들기 42
5 쟁점과 연구의 관점 45
제3장 충청남도 면소재지 실태 47
1 면 소재지 특성 47
1 인구 및 가구 47
2 생산가능 인구 50
3 노후주택수 52
4 독거노인수 54
2 면소재지 공간시설 실태 56
1 기능 56
2 형태 60
3 소재지내 중심거점내 입지시설 66
4 지가 변동 현황 71
제4장 면소재지 정책 개선 및 정비방안 74
1 기본방향 74
2 정책적 개선방안 77
1 면소재지 유형별 정비방안의 차별화 77
2 서비스 전달 체계의 효율화 등 면소재지 유형별 서비스 기준의 설정 78
3 주택 보급 및 토지이용 효율성 제고 84
4 단계적 역량강화 및 자립화 도모 91
3 면소재지 정비 및 제도적 개선방안 94
1 목적 명확화 및 추진대상사업의 세분화 94
2 정주체계가 반영된 시군 생활환경정비계획 수립의 내실화 94
3 계획위상 확보 및 생활권을 고려한 공공시설의 재배치 97
4 관련 사업의 유연화 및 SW사업의 우선 추진 101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7
1 요약 및 결론 107
2 정책 제언 및 연구의 한계 110
참고문헌 112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형빈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53호 2010. 12. 01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아산시·충남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년 전국체전 유치, 그리고 아산의 재도약' (장인식,임형빈,임준홍,백운성) 2011. 12. 20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
한상욱
중부 농축산물류센터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관계자 워크숍(한상욱) 2016. 01. 08
충남발전연구원 생활권 연구회 1차 워크숍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 프로젝트 계획수립방안 모색 워크숍'(정규재,한상욱) 2015. 01. 08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3년도 제2회 소도시연구회 '지속가능한 읍면소재지 활성화, 주민의 힘으로' (한상욱,오형은) 2013. 04. 16
소도읍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김정연,한상욱,박종철,정영덕,권오혁,박시현) 2002. 07. 04
충남발전연구원 생활권 연구회 2차 워크숍 '지역개발지원법 시행에 따른 지역개발사업 관련 계획 수립방안 모색 워크숍'(한상욱) 2015. 0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