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농촌지역에는 자연자원 문화자원 경관자원 등 다양하고 소중한 자원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러한 훌륭한 농촌자원들이 개발위주의 농촌개발정책 기조에 의해 제대로 보전 계승되고 있지 않으며 일부 자원들은 농촌지역에서 거의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소멸위기에 처에 있다 농촌지역이 본연의 모습과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농촌자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들을 재해석하고 후세에게도 계승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그 동안 충청남도 농정 핵심은 1차 농산물의 생산성 향상과 농촌자원을 최대로 활용한 농촌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충청남도 농정의 방향을 고유의 농촌자원 발굴과 보전 농업 생물다양성 보호 전통적 농업지식체계 보전 등 향후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다움을 복원하는 정책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농촌지역에 존재하는 농촌농업자원을 후세에게 제대로 계승하기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 방안으로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정책 도입을 제안하였다
그 동안 충청남도 농정 핵심은 1차 농산물의 생산성 향상과 농촌자원을 최대로 활용한 농촌개발에 집중되어 왔다 이러한 충청남도 농정의 방향을 고유의 농촌자원 발굴과 보전 농업 생물다양성 보호 전통적 농업지식체계 보전 등 향후 지속가능한 농업과 농촌다움을 복원하는 정책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농촌지역에 존재하는 농촌농업자원을 후세에게 제대로 계승하기 위한 제도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 방안으로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정책 도입을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3 정책 활용기대 효과 3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4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5
4 선행연구 검토 7
제2장 관련 개념 검토 9
1 기존 농업유산의 개념 9
2 농업유산과 유사한 개념 12
1 농업유산과 UNESCO 유산과의 비교 12
2 농업유산과 농촌유산의 비교 15
3 지역농업유산의 개념 18
1 지역농업유산 개념 설정의 기본 방향 18
2 지역농업유산의 기본 조건 19
3 지역농업유산의 정의와 구성요소 19
4 지역농업유산과 기존 농업유산 개념과의 비교 21
제3장 관련 정책사례 검토 23
1 세계중요농업유산 제도 23
1 지정 절차 23
2 지정 기준 24
2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 25
1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의 도입 25
2 국가중요농업유산 심의위원회 구성 27
3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절차 27
4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기준 28
3 문화재보호법 30
1 개념과 대상 30
2 지정 주체 31
제4장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정책 추진안 33
1 지역농업유산 정책도입의 필요성 33
2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대상 34
3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기준과 지정 절차 36
1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기준 36
2 지역농업유산 지정 절차 38
3 심의위원회 구성과 운영 39
4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체계 40
1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개요 40
2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지표 41
3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추진 방법 43
5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보전 관리 조례안 44
제5장 충청남도 농업유산 후보자원 사례 50
1 서천 한산모시농업 51
2 공주 정안밤농업 53
3 당진 합덕제 54
4 공주 선학리 지게놀이 55
5 금산 송계와 송계지게놀이 56
6 서천군 길쌈노래저산팔읍길쌈놀이 58
7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59
8 기타 60
제6장 결론 61
1 연구 요약과 한계 61
2 정책 제언 62
부록 66
1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신청서 양식안 68
2 제주도 특별자치도 농어업유산 보전 및 관리 조례 69
3 전라남도 농어업유산 지정 관리 기준 제정안 73
4 구례군 산수유 보호 및 육성 지원 조례 83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 1
2 연구 목적 3
3 정책 활용기대 효과 3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1 연구 범위 4
2 연구 방법 4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5
4 선행연구 검토 7
제2장 관련 개념 검토 9
1 기존 농업유산의 개념 9
2 농업유산과 유사한 개념 12
1 농업유산과 UNESCO 유산과의 비교 12
2 농업유산과 농촌유산의 비교 15
3 지역농업유산의 개념 18
1 지역농업유산 개념 설정의 기본 방향 18
2 지역농업유산의 기본 조건 19
3 지역농업유산의 정의와 구성요소 19
4 지역농업유산과 기존 농업유산 개념과의 비교 21
제3장 관련 정책사례 검토 23
1 세계중요농업유산 제도 23
1 지정 절차 23
2 지정 기준 24
2 국가중요농업유산 제도 25
1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의 도입 25
2 국가중요농업유산 심의위원회 구성 27
3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절차 27
4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 기준 28
3 문화재보호법 30
1 개념과 대상 30
2 지정 주체 31
제4장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정책 추진안 33
1 지역농업유산 정책도입의 필요성 33
2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대상 34
3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기준과 지정 절차 36
1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기준 36
2 지역농업유산 지정 절차 38
3 심의위원회 구성과 운영 39
4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체계 40
1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개요 40
2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지표 41
3 지역농업유산 모니터링 추진 방법 43
5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지정 보전 관리 조례안 44
제5장 충청남도 농업유산 후보자원 사례 50
1 서천 한산모시농업 51
2 공주 정안밤농업 53
3 당진 합덕제 54
4 공주 선학리 지게놀이 55
5 금산 송계와 송계지게놀이 56
6 서천군 길쌈노래저산팔읍길쌈놀이 58
7 태안 안면도 모감주나무군락 59
8 기타 60
제6장 결론 61
1 연구 요약과 한계 61
2 정책 제언 62
부록 66
1 충청남도 지역농업유산 신청서 양식안 68
2 제주도 특별자치도 농어업유산 보전 및 관리 조례 69
3 전라남도 농어업유산 지정 관리 기준 제정안 73
4 구례군 산수유 보호 및 육성 지원 조례 83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정하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충남형 농어촌서비스 기준에 따른 실태조사 2014. 10. 23
2013년 살기좋은 희망마을 만들기 마을발전계획수립 연구용역 - 두마면 농소1리, 엄사면 엄사2리, 엄사면 유동2리 - 2013. 04. 11
2014년 계룡시 농촌마을 역량강화 사업 용역 2014. 06. 16
천안 동남구 마을역사 아카이브 구축 용역 2015. 08. 13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 2012. 09. 14
-
유학열
충남농어업 6차산업화센터 개소기념 세미나 자료집 (김용렬,유학열,정제민) 2011. 06. 09
제1회 충남현장포럼(유학열) 2016. 03. 18
충남연구원-국책연구기관 간 상생·협력 모색 세미나(유학열, 송미령) 2015. 05. 28
충남 6차산업화 중간지원협의체 출범식(유학열) 2014. 04.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51호 2010.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