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2017년 충청남도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일시 가동중단셧다운을 통해 대기질 변화와 주민 건강 영향 정책 인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보령 12호기 서천 12호기 발전소가 가동 중단 대상이었으며 대기확산모델링을 기반으로 영향권역을 선정해 대기질 측정과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보령과 서천 지역은 미세먼지PM10 PM25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등을 이동측정차량을 통해 24시간 연속 측정했고 6월가동중지과 7월재가동 데이터를 비교했다 결과적으로 7월이 6월보다 미세먼지 농도는 더 낮았으나 이는 발전소 영향보다는 7월의 강우일수가 더 많았던 기상요인이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총 727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서는 보령화력 인근 주민들이 서천보다 미세먼지 심각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석탄화력 셧다운 인지도는 641였으며 대기질 개선 체감은 28만이 개선됨이라고 응답해 실질적인 체감도는 낮은 편이었다
신체 자각 증상의 개선 경험은 기침 가래 호흡곤란 두통 등에서 47 수준이었으며 기관지염 결막염 천식 심장질환 정신질환 등 진단받은 질환의 호전 경험 비율은 각각 4453로 나타났다 특히 보령 굴뚝영향권 주민의 기관지염 호전율은 806로 매우 높았다
셧다운 정책의 효과성에 대해 응답자의 737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미세먼지 대응 정책 우선과제로는 건강영향조사 및 건강피해 최소화사업이 259로 가장 높게 응답되었다 주요 정보 수단은 TV492와 인터넷158이었고 SNS와 신문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는 주관적 설문조사 기반이므로 한계가 있으며 2018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셧다운 정책에 따라 건강보험자료 분석 생체지표 측정 대기건강자료 연계 연구 등을 통해 과학적지속적인 정책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을 담고 있다
보령과 서천 지역은 미세먼지PM10 PM25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오존 등을 이동측정차량을 통해 24시간 연속 측정했고 6월가동중지과 7월재가동 데이터를 비교했다 결과적으로 7월이 6월보다 미세먼지 농도는 더 낮았으나 이는 발전소 영향보다는 7월의 강우일수가 더 많았던 기상요인이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총 727명의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서는 보령화력 인근 주민들이 서천보다 미세먼지 심각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석탄화력 셧다운 인지도는 641였으며 대기질 개선 체감은 28만이 개선됨이라고 응답해 실질적인 체감도는 낮은 편이었다
신체 자각 증상의 개선 경험은 기침 가래 호흡곤란 두통 등에서 47 수준이었으며 기관지염 결막염 천식 심장질환 정신질환 등 진단받은 질환의 호전 경험 비율은 각각 4453로 나타났다 특히 보령 굴뚝영향권 주민의 기관지염 호전율은 806로 매우 높았다
셧다운 정책의 효과성에 대해 응답자의 737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미세먼지 대응 정책 우선과제로는 건강영향조사 및 건강피해 최소화사업이 259로 가장 높게 응답되었다 주요 정보 수단은 TV492와 인터넷158이었고 SNS와 신문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는 주관적 설문조사 기반이므로 한계가 있으며 2018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셧다운 정책에 따라 건강보험자료 분석 생체지표 측정 대기건강자료 연계 연구 등을 통해 과학적지속적인 정책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정책 제언을 담고 있다
목차
I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4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II 제2장 대상지역 선정 및 환경보건 현황
1 대상지역의 영향권역 선정
2 석탄화력발전 가동중단 대상 시설 현황
3 대상지역의 환경보건 현황
III 제3장 대기질 측정 및 분석
1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
2 환경부
IV 제4장 주민건강실태와 정책인식 설문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결과
V 제5장 대기질과 설문조사의 시사점 및 정책제언
1 대기질과 설문조사의 시사점
2 정책제언
참고 문헌
부록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4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II 제2장 대상지역 선정 및 환경보건 현황
1 대상지역의 영향권역 선정
2 석탄화력발전 가동중단 대상 시설 현황
3 대상지역의 환경보건 현황
III 제3장 대기질 측정 및 분석
1 충청남도 보건환경연구원
2 환경부
IV 제4장 주민건강실태와 정책인식 설문조사
1 설문조사 개요
2 설문조사 결과
V 제5장 대기질과 설문조사의 시사점 및 정책제언
1 대기질과 설문조사의 시사점
2 정책제언
참고 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명형남
4개 시도 금강정책 공동연구회 워크숍(2차)(명형남,이재근,배명순) 2014. 11. 21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2015년 제1차 환경복지연구회 워크숍-충남의 라돈과 어린이 건강(하미나,이가희,명형남) 2015. 05. 11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남 서북부 환경취약지역 주민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김영명,명형남) 2014. 11. 05
열린충남71호 2015.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