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충청남도는 에너지전환과 시민참여의 결합을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도민이 직접 참여하는 숙의적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했다 기존의 관 중심 계획수립 방식에서 벗어나 시민 참여형 모델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에 따라 지역 에너지계획의 민주적 정당성과 실행력을 높이는 방법론이 강조되었다
연구는 합의회의 시민배심원 시나리오 워크숍 공론조사 등 숙의적 시민참여 방법론을 정리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그 실행 방식을 비교 분석했다 충남의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을 비롯해 영국 토트네스 캐나다 에드먼턴 핀란드 핀스퐁 등의 사례에서 실질적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전환 모델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숙의적 시민참여형 모델은 일반 시민의 역량 강화와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을 전제로 하며 시나리오 기반 참여 설계와 전문가시민 간 협력구조가 필요하다 시민들은 단순 수용자가 아닌 공동 설계자로 참여하며 이 과정에서 지역특성과 생활현안을 반영한 계획이 도출될 수 있다
충청남도는 기존에 환경보전종합계획 양성평등 비전 2030 안전충남 2030 등 다양한 정책 수립 과정에서 도민 참여 방식을 적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숙의형 에너지계획에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안된 시민참여형 에너지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은 ① 시민 기획단 구성 ② 주제별 학습 및 토론 ③ 시나리오 설계 및 평가 ④ 실행계획 도출 ⑤ 정책화 및 후속 모니터링 등 단계로 구성된다 세부적 참여 방식은 지역 여건에 따라 ABC 유형으로 세분화되어 적용된다
시민참여가 활성화되면 정책 수용성과 신뢰도 제고뿐 아니라 에너지전환에 대한 이해 증진 지역 공동체 기반 강화 장기적 정책 지속 가능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청남도는 에너지계획 수립 시 시민의 학습과 숙의 실천까지 연계하는 통합적 모델을 확산할 필요가 있다
연구는 합의회의 시민배심원 시나리오 워크숍 공론조사 등 숙의적 시민참여 방법론을 정리하고 국내외 사례를 통해 그 실행 방식을 비교 분석했다 충남의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을 비롯해 영국 토트네스 캐나다 에드먼턴 핀란드 핀스퐁 등의 사례에서 실질적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전환 모델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숙의적 시민참여형 모델은 일반 시민의 역량 강화와 민주적 거버넌스 구축을 전제로 하며 시나리오 기반 참여 설계와 전문가시민 간 협력구조가 필요하다 시민들은 단순 수용자가 아닌 공동 설계자로 참여하며 이 과정에서 지역특성과 생활현안을 반영한 계획이 도출될 수 있다
충청남도는 기존에 환경보전종합계획 양성평등 비전 2030 안전충남 2030 등 다양한 정책 수립 과정에서 도민 참여 방식을 적용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숙의형 에너지계획에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안된 시민참여형 에너지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은 ① 시민 기획단 구성 ② 주제별 학습 및 토론 ③ 시나리오 설계 및 평가 ④ 실행계획 도출 ⑤ 정책화 및 후속 모니터링 등 단계로 구성된다 세부적 참여 방식은 지역 여건에 따라 ABC 유형으로 세분화되어 적용된다
시민참여가 활성화되면 정책 수용성과 신뢰도 제고뿐 아니라 에너지전환에 대한 이해 증진 지역 공동체 기반 강화 장기적 정책 지속 가능성 확보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청남도는 에너지계획 수립 시 시민의 학습과 숙의 실천까지 연계하는 통합적 모델을 확산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및 방법
3 기대효과
Ⅱ 시민참여와 에너지전환
1 시민참여의 이론적 배경
1 시민참여의 유형
2 시민참여의 방법과 사례
3 토론 및 시사점
2 에너지전환과 시민참여
1 시민참여 관점에서의 에너지전환
2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국내외 가이드라인 검토
Ⅲ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사례분석
1 지역에너지계획 참여 모델
1 전통적 모델
2 대안적 모델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유형과 사례
1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유형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사례
3 소결
Ⅳ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방법론
1 숙의적 시민참여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1 충청남도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의 시사점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의 전제 조건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방법론 제안
1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단계 설정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Ⅴ 결론
참고문헌
1 연구배경 및 목적
1 연구배경
2 연구목적 및 방법
3 기대효과
Ⅱ 시민참여와 에너지전환
1 시민참여의 이론적 배경
1 시민참여의 유형
2 시민참여의 방법과 사례
3 토론 및 시사점
2 에너지전환과 시민참여
1 시민참여 관점에서의 에너지전환
2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국내외 가이드라인 검토
Ⅲ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사례분석
1 지역에너지계획 참여 모델
1 전통적 모델
2 대안적 모델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유형과 사례
1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유형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사례
3 소결
Ⅳ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방법론
1 숙의적 시민참여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1 충청남도 도민 에너지기획단 워크숍의 시사점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의 전제 조건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방법론 제안
1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단계 설정
2 숙의적 시민참여형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Ⅴ 결론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진희
2016 제6차 충남미래연구포럼_지역에너지비전 수립방향 2016. 08. 17
충청남도 유해화학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2024. 06. 11
리빙랩을 활용한 충남 에너지자립마을 추진 방안 2016. 04. 15
제2회 도시정책포럼_지역 분권과 에너지 전환 (이상헌,이정필,여형범,한재각,김동주,김현우,Liling Huang) 2016. 05. 11
충남 ODA 사업 추진 방향 연구 2015. 01. 01
-
이정필
태양광 갈등 해소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이정필,이성호) 2016. 05. 25
에너지전환연구회 2017년 제1차 워크숍: 지역에너지계획과 시민/주민참여(CNI세미나2017-067) (오용성, 이유진, 안명균, 여형범, 이정필, 류홍번, 신근정) 2017. 06. 14
공간환경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제1세션 '에너지 전환의 생태-사회적 접근 : 재지역화와 재공유화를 중심으로' (이정필,이보아,이유진,여형범,박혜령) 2013. 12. 06
제2회 도시정책포럼_지역 분권과 에너지 전환 (이상헌,이정필,여형범,한재각,김동주,김현우,Liling Huang) 2016. 05. 11
에너지전환연구회 제2차 워크숍(이정필) 2016. 03. 30
충남리포트-132호-지역 중심의 에너지시스템 전환을 위한 정책과제 2014. 10.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