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도민 안전의식(인식) 수준 조사
수탁

도민 안전의식(인식) 수준 조사

기간
2017. 10. 26 ~ 2017. 12. 26
연구책임자
조성
연구자
박근오
키워드
도민 안전의식,안전문화,충청남도,자연재난,사회재난,생활안전,정책제언,대응능력
다운로드

[Final] 도민 안전의식(인식)수준 조사(2017)(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도민을 대상으로 한 안전의식 조사는 자연재난 사회재난 생활안전 등 세 분야에 대해 인식 수준을 측정했다 전반적으로 보통이라는 응답이 높았으며 매우 안전하다는 응답 비율은 낮은 편으로 확인됐다
도민의 안전의식 수준은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과 고령층에서 불안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응답자의 과반수는 안전의식이 보통이라고 응답했으나 낮다는 응답이 전년보다 증가해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충청남도의 재난 대응 능력에 대해서도 보통이라는 인식이 가장 많았으며 만족보다 불만족 응답이 더 크게 늘어났다 집중호우 및 지진 발생 등의 영향으로 응답자들의 체감 안전도가 하락한 것으로 해석된다
안전문화 교육 경험은 도민 절반 수준으로 직장이나 공공기관에서의 교육 비중이 가장 컸다 그러나 전문 교육기관에서의 교육 비율이 낮아 이에 대한 강화 필요성이 언급됐다
안전 정보는 주로 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접하고 있었으며 실전훈련 및 맞춤형 교육 캠페인이 안전의식 향상을 위한 효과적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정부 정책 중에서는 긴급재난문자가 가장 유용한 안전정책으로 평가받았다
충청남도의 주요 안전문화 시책에 대한 인지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나 어르신 운전차량 보호 캠페인 등은 상대적으로 효과성이 높게 평가됐다 각종 시책의 실효성 제고와 함께 인지도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된다

목차

I 제1장 조사의 개요
1 제1절 조사목적 및 활용 방안
조사 목적
조사의 내용
조사결과의 활용
2 제2절 조사설계 및 내용
조사설계
조사내용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II 제2장 조사결과 요약
1 제1절 현재 충남의 안전도 수준 인식
자연재난 분야 안전도
사회재난 분야 안전도
생활안전 분야 안전도
현재 충청남도의 전반적 안전도 인식수준
2 제2절 안전의식 수준
충청남도 도민의 안전의식 수준
충청남도의 대응능력 수준
3 제3절 안전문화
안전문화교육 경험
안전 관련 정보 경로
범시민적인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효과적 방법
충남 또는 정부 시행의 유용한 안전정책
4 제4절 충남의 주요 안전문화시책의 인지도
각종 행사시 비상대피 안내
우리집 안전온도 점검
체험형 안전상식 프로그램 보급키오스크
안전문화 버스광고
어르신 운전차량 보호캠페인스티커광고
5 제5절 충남의 주요 안전문화시책의 효과
각종 행사시 비상대피 안내
우리집 안전온도 점검
체험형 안전상식 프로그램 보급키오스크
안전문화 버스광고
어르신 운전차량 보호캠페인스티커광고
III 제3장 조사결과 분석
1 현재 충청남도의 자연재난 안전도 인식수준
2 현재 충청남도의 사회재난 안전도 인식수준
3 현재 충청남도의 생활안전도 인식수준
4 현재 충청남도의 전반적 안전도 인식수준
5 충청남도 도민의 안전의식 수준
6 충남의 재난 사고 등 위험 대응능력
7 안전문화 교육 경험
8 안전 관련 정보를 접하는 경로
9 범시민적인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효과적 방법
10 충남 또는 정부 시행의 유용한 안전정책
11 각종 행사시 비상대피 안내
12 우리집 안전온도 점검
13 체험형 안전상식 프로그램 보급키오스크
14 안전문화 버스광고
15 어르신 운전차량 보호캠페인스티커광고
16 각종 행사시 비상대피 안내
17 우리집 안전온도 점검
18 체험형 안전상식 프로그램 보급키오스크
19 안전문화 버스광고
20 어르신 운전차량 보호캠페인스티커광고
IV 제4장 결론 및 제언
1 현재 안전도 및 안전의식에 대한 도민 인식
2 안전도 및 안전의식 수준 제고방안
3 안전문화교육 및 안전관련 정보 접근성 제고 방안
4 충남도 시행 시책에 대한 발전방향
별첨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