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1 환경과 개발을 위한 Rio 선언과 Local Agenda 21
1 Local Agenda 21과 지방정부의 대응
1992년 6월 Rio de Janeiro에서 개최된 UN의 환경과 개발회의는1972년 6월 16일에 Stockholm에서 채택된 인간 환경에 관한 UN선언을 재 천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새로운 국가간 협력수준의 창출을 통해 새롭고 평등한 지구적 동반자관계를 마련하려는 목적을 가지며 동시에 우리의 지구 생태계가 지닌 통합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인식하면서 전 인류의 이익을 도모하고 지구 환경과 개발 체제간의 통합성을 보존하기 위한 국제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Agenda 21을 채택선언하였다
이후 생략
1 Local Agenda 21과 지방정부의 대응
1992년 6월 Rio de Janeiro에서 개최된 UN의 환경과 개발회의는1972년 6월 16일에 Stockholm에서 채택된 인간 환경에 관한 UN선언을 재 천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새로운 국가간 협력수준의 창출을 통해 새롭고 평등한 지구적 동반자관계를 마련하려는 목적을 가지며 동시에 우리의 지구 생태계가 지닌 통합적이고 상호의존적인 성격을 인식하면서 전 인류의 이익을 도모하고 지구 환경과 개발 체제간의 통합성을 보존하기 위한 국제적 합의를 도출하기 위하여Agenda 21을 채택선언하였다
이후 생략
목차
1 환경과 개발을 위한 Rio 선언과 Local Agenda 21
2 충청남도의 환경오염현황과 정책방향
3 충남 Agenda 21의 방안 예시
2 충청남도의 환경오염현황과 정책방향
3 충남 Agenda 21의 방안 예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철규
열린충남1호 1995. 09. 01
열린충남55호 2011. 06. 01
충남 외식업 로컬푸드 인증제도(미더유) 관리·운영 개선방안 2014. 01. 01
지역생협의 활성화 방안 연구 2012. 01. 01
충남지역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 방안 2015. 08.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