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연구보고서>통합검색

2018년 제1회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8-005)(구자인,권영진)

2018년 제1회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8-005)(구자인,권영진)

기간
20180223 ~ 20180223
진행상태
완료
연구자
구자인,정석호,이혜란,박주석,황바람,이동주,안민지,장윤수
파일다운로드
자료집_대화마당 1회차(종합) 자료집_CNI세미나2018-005.pdf
발표1.구자인_우리는 왜 마을로 가는가_2018_충남연구원.pdf
발표2.권영진_농어촌 마을만들기의 내부 쟁점_2018_충남연구원.pdf
토론1.조병혜_마을만들기 경험과 제안_2018_충남연구원.pdf
토론2.김애경_주민자치의 마을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_2018_충남연구원.pdf
토론3.김시환_아름다운 마을로 되어가는 과정_2018_충남연구원.pdf
토론4.장윤수_충남 마을넷 밴드 관리 규정_2018_충남연구원.pdf
목차
<1부> 주제발표
발표1. [우리는 왜 마을로 가는가? : 민관협치와 주민자치] - 구자인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장
발표2. [농어촌 마을만들기의 내부 쟁점 : 무엇이 바뀌어야 하나?] - 권영진 보령시 마을만들기협의회 회장

<2부> 쟁점 토론 : 주민자치의 마을만들기 시스템
토론1. 마을만들기 경험과 제안 - 조병혜 홍성군 마을만들기협의회 회장
토론2. 주민자치의 마을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 김애경 서천군 마을만들기협의회 회장
토론3. 아름다운 마을로 되어가는 과정 - 김시환 논산시 마을만들기협의회 회장

<3부> 기타 토론
토론4. [충남 마을넷]밴드 관리 규정 : 2018 지방선거 대응 - 장윤수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연구원
내용
충남도는 2015년부터 기존의 마을만들기 방식을 반성하며 '현장밀착형'으로 마을을 지원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집중해왔습니다. 이런 차원에서 시군마다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
직을 설치하였으며, 2018년 2월 현재, 총 9개 시군에서 운영 중에 있습니다. 올해 2018년부
터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실제 마을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무엇이고”, 또 “현재
추진 방식에서 어떤 점이 바뀌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마을을 직접 찾아가는' 대화마
당 방식으로 한 단계 더 깊이 들어가고자 합니다.
농어촌 마을 현장의 주민 목소리를 직접 듣고 마을만들기의 다양한 영역에서 쟁점 토론
을 통해 근본적인 해결방향을 모색하는 작은 보탬이 되고자 합니다. 충남 센터에서 마을리
더를 위한 학습용 잡지로 발간하고 있는『마을독본』특집호 주제와 연계하여 주민들이 체감
할 수 있는 실용적인 주제를 선정하였습니다. 주제별 쟁점토론과 실습도 해보고, 결과물은
뉴스레터와 마을독본 지면을 통해 계속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2월 대화마당은 지금까지 쟁점 토론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2018년의 전체
방향성과 운영방식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해보고자 합니다. 많이 참석하시어 좋은 학습과
토론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 일 시 : 2018. 2. 23(금) 14:00 ~ 18:00
○ 장 소 :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공간 U
- 홍성군 홍북읍 상하천로58 충남개발공사 1층
○ 주 최 : 충남연구원 농어촌마을연구회 (충남마을만들기지원센터)
○ 참석대상 : 열정이 있고 공부하려는 분은 누구나 참석 가능
○ 참 가 비 : 무료
○ 참가문의 : 정석호 초빙책임연구원(041-429-0007, sockhoj@gmail.com)
○ 관련 사이트 : 홈페이지(www.cnmaeul.net), 네이버 밴드(충남마을넷)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정우철 연락처 : 041-840-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