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책조성(세미나,워크숍등)

> 연구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워크숍등)

재난안전연구센터 정책세미나 (대형참사 예방을 위한 구조적 진단과 과제)(CNI세미나2018-026)

재난안전연구센터 정책세미나 (대형참사 예방을 위한 구조적 진단과 과제)(CNI세미나2018-026)

기간
20180413 ~ 20180413
진행상태
완료
연구자
조성
파일다운로드
충남연구원-세월호 참사 4주기 위기관리 학술대회_내지3차_최종.pdf
목차
제1회의 ╷기조발제╷세월호 참사, 위기관리의 변화와 과제
• 기조발제 1 : 대형참사와 공동체의 탄력성 3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
• 기조발제 2 : 세월호 참사가 재난안전 분야에 주는 교훈(별도인쇄) 19
박종운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안전소위원회위원장, 변호사)
제2회의 대형참사 발생의 진단과 이슈
• 발제 1 : 국민과 소통하는 참사현장관리 : 트라우마 예방을 통한 신뢰로운 정부 25
배정이 (인제대 교수)
• 발제 2 : 세월호 참사 4주기를 추모하며 얻는 교훈 41
박성일 (목포해양대 교수)
• 발제 3 : 동일본대지진 복구·부흥의 문제점 및 과제 47
라정일 (돗토리대 교수)
• 토론 1 : 조호대 (순천향대 교수) 65
• 토론 2 : 이병재 (국토연구원 도시방재·수자원연구센터장) 68
• 토론 3 : 성기환 (서일대 교수) 69
• 토론 4 : 송윤석 (서정대 교수) 71
• 토론 5 : 최희천 (열린사이버대 교수) 73
제3회의 ╷종합토론╷ 대형참사 위기관리, 시급한 대안은 무엇인가
• 토론 1 : 대형화재 - 변수남 (소방청 119 구조구급 국장) 77
• 토론 2 : 지진 및 건물붕괴 - 신수봉 (한국지진공학회 회장) 92
• 토론 3 : 해난사고 - 류찬열 (코리아샐비지 대표) 98
• 토론 4 : 화학물질 -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111
• 토론 5 : 질병 및 감염병 - 최보율 (한양대 보건대학원 교수) 114
• 토론 6 : 원전안전 - 이정윤 (원자력안전과 미래 대표) 126
내용
제1회의 ╷기조발제╷세월호 참사, 위기관리의 변화와 과제
• 기조발제 1 : 대형참사와 공동체의 탄력성 3
노진철 (경북대 사회학과 교수)
• 기조발제 2 : 세월호 참사가 재난안전 분야에 주는 교훈(별도인쇄) 19
박종운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안전소위원회위원장, 변호사)
제2회의 대형참사 발생의 진단과 이슈
• 발제 1 : 국민과 소통하는 참사현장관리 : 트라우마 예방을 통한 신뢰로운 정부 25
배정이 (인제대 교수)
• 발제 2 : 세월호 참사 4주기를 추모하며 얻는 교훈 41
박성일 (목포해양대 교수)
• 발제 3 : 동일본대지진 복구·부흥의 문제점 및 과제 47
라정일 (돗토리대 교수)
• 토론 1 : 조호대 (순천향대 교수) 65
• 토론 2 : 이병재 (국토연구원 도시방재·수자원연구센터장) 68
• 토론 3 : 성기환 (서일대 교수) 69
• 토론 4 : 송윤석 (서정대 교수) 71
• 토론 5 : 최희천 (열린사이버대 교수) 73
제3회의 ╷종합토론╷ 대형참사 위기관리, 시급한 대안은 무엇인가
• 토론 1 : 대형화재 - 변수남 (소방청 119 구조구급 국장) 77
• 토론 2 : 지진 및 건물붕괴 - 신수봉 (한국지진공학회 회장) 92
• 토론 3 : 해난사고 - 류찬열 (코리아샐비지 대표) 98
• 토론 4 : 화학물질 -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 111
• 토론 5 : 질병 및 감염병 - 최보율 (한양대 보건대학원 교수) 114
• 토론 6 : 원전안전 - 이정윤 (원자력안전과 미래 대표) 126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