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정책지원과제
홈 > 연구보고서>정책지원과제>진행중인 정책지원과제
센터 하반기 워크숍
- 기간
- 20211001 ~ 2021123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박혜은
- 연구자
- 오병찬,강경연
- 파일다운로드
- 공공디자인활성화방안모색(최종인쇄).pdf
목차
제1장 총칙
제2장 공공디자인에 관한 사항
제3장 범용디자인에 관한 사항
제4장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에 관한 사항
제5장 공공디자인 진흥위원회에 관한 사항
제6장 공공디자인 사업의 추진에 관한 사항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추진계획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추진체계 및 개선방향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심의도서 안내
공공디자인 적용 분야 및 시군별 사업현황
공공디자인 관련 실국/기관별 업무 분장
공공디자인 심의도서 샘플
제2장 공공디자인에 관한 사항
제3장 범용디자인에 관한 사항
제4장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에 관한 사항
제5장 공공디자인 진흥위원회에 관한 사항
제6장 공공디자인 사업의 추진에 관한 사항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추진계획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추진체계 및 개선방향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심의도서 안내
공공디자인 적용 분야 및 시군별 사업현황
공공디자인 관련 실국/기관별 업무 분장
공공디자인 심의도서 샘플
내용
본 행사는 충남연구원 공공디자인센터 주관으로 2021년에 개최되었으며, 충청남도 공공디자인 진흥 및 개선을 위한 제도와 사업계획, 실행방안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로 구성되었다. 참석자에는 도의회, 공공기관, 디자인 전문가 등이 포함되었고, 기조 강연과 사업계획 발표,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되었다.
최훈 도의원은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의 이해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공공디자인의 목적, 적용 범위, 조례 개정 필요성 등을 설명했다. 특히 범용디자인 및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을 포함하는 포괄적 공공디자인 체계를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조례는 보다 구체화되고 실천적인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오병찬 센터장은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컨설팅 프로세스, 시군 지원체계, 자문 절차 등을 소개했다. 문체부 및 도비 공모사업과 연계해 공공디자인의 현장 적용을 확산시키기 위한 실질적 지원 방안도 제시되었다. 사업 초기 구상부터 설계·심의까지 단계별 자문 체계를 강화하였다.
박혜은 책임연구원은 충남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추진체계와 개선방향을 설명하면서, 사업의 연속성 부족과 평가 체계 미비, 성과 확산의 한계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사업 구조를 단년도에서 중장기 연속형으로 전환하고, 심의 기준 및 자문 내용의 표준화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박신 경관디자인팀장은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심의 절차와 운영지침, 도서 작성 기준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공공시설물, 공간, 시각이미지, 용품 등 디자인 대상별로 필요한 심의 서류 샘플과 절차 안내를 통해 실무적 이해도를 높였다. 이는 심의의 일관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번 행사는 공공디자인이 단순한 미관 향상을 넘어 공공성, 안전, 접근성 등을 포괄하는 정책 수단임을 강조하였다. 충남도는 관련 조례와 제도 정비, 컨설팅 체계 확립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질적 향상과 행정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맞춤형 디자인 정책 확산을 지속할 계획이다.
최훈 도의원은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의 이해를 주제로 강연을 진행하며, 공공디자인의 목적, 적용 범위, 조례 개정 필요성 등을 설명했다. 특히 범용디자인 및 범죄예방 환경디자인을 포함하는 포괄적 공공디자인 체계를 강조하였다. 이에 따라 조례는 보다 구체화되고 실천적인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오병찬 센터장은 공공사업 디자인 컨설팅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컨설팅 프로세스, 시군 지원체계, 자문 절차 등을 소개했다. 문체부 및 도비 공모사업과 연계해 공공디자인의 현장 적용을 확산시키기 위한 실질적 지원 방안도 제시되었다. 사업 초기 구상부터 설계·심의까지 단계별 자문 체계를 강화하였다.
박혜은 책임연구원은 충남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추진체계와 개선방향을 설명하면서, 사업의 연속성 부족과 평가 체계 미비, 성과 확산의 한계 등을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사업 구조를 단년도에서 중장기 연속형으로 전환하고, 심의 기준 및 자문 내용의 표준화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박신 경관디자인팀장은 경관 및 공공디자인 심의 절차와 운영지침, 도서 작성 기준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공공시설물, 공간, 시각이미지, 용품 등 디자인 대상별로 필요한 심의 서류 샘플과 절차 안내를 통해 실무적 이해도를 높였다. 이는 심의의 일관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번 행사는 공공디자인이 단순한 미관 향상을 넘어 공공성, 안전, 접근성 등을 포괄하는 정책 수단임을 강조하였다. 충남도는 관련 조례와 제도 정비, 컨설팅 체계 확립을 통해 공공디자인의 질적 향상과 행정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역 맞춤형 디자인 정책 확산을 지속할 계획이다.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