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현안과제

> 연구보고서>현안과제>진행중인 현안과제

충남도청 내포신도시의 정체성, 미래상을 담아낼 지역축제 발굴

충남도청 내포신도시의 정체성, 미래상을 담아낼 지역축제 발굴

기간
20221021 ~ 20221231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김경태
연구자
조소진
목차
Ⅰ.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적용사례
1. 에코뮤지엄(Ecomuseum)의 의미
2. 에코뮤지엄(Ecomuseum)의 적용사례

Ⅱ. 배포 정체성과 에코뮤지엄을 접목한 축제콘텐츠
1. 콘텐츠 개발개념
2. 콘텐츠 개발방안
내용
(1) 내포지역의 역사·문화를 고려한 축제콘텐츠
◉ 내포는 새로운 문화의 관문 또는 창구의 역할을 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문화특성을 보유하게 되었음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2015), 내포의 역사와 문화, 내포문화총서-1, 충청남도, 9쪽.

◉ 선사문화, 백제시대, 신라에서 고려까지의 내포, 조선시대의 내포,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역사적 배경과 유산을 갖고 있음
◉ 서해안을 따라 발달한 바닷길이 일찍부터 내포만의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였음
◉ 이 바닷길은 오늘날의 철도교통이나 고속도로망과 같은 의미로 외래문물 수용 창구의 역할을 했음
◉ 바다로 부터 깊숙한 수로를 통해 육지가 맞닿은 독특한 지리환경이 교통의 요지이자 선진문화의 창구로 상징되는 내포의 문화를 만들었음
◉ 이러한 맥락에서 내포신도시는 내포문화권의 현재라 할 수 있음. 과거 문물의 교류를 통해 내포문화가 형성되었던 것처럼 내포신도시에서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고 전하면서 미래의 새로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개념을 적용하여 축제콘텐츠를 구성함
◉ 충남을 비롯한 전국, 해외의 문화가 드나드는 '문화포구' 축제콘텐츠를 제안함
◉ '문화포구'는 내포문화의 유산을 중심으로 콘텐츠가 구성되는 특징이 있음
◉ 충청남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무형문화유산인 중요무형문화재의 대목장을 비롯한 소목장, 단청장, 불화장, 목소장, 침선장, 각자장, 지승공예, 댕댕이장 보유자 등이 다수 있음
◉ 내포문화권에는 다양한 역사와 문화가 담겨있음 홍제연(2015), 충남의 내포문화권 개발과 역사문화 콘텐츠의 활용,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81-91쪽.

-보령 : 오천성, 갈매못성지, 보령읍성, 보령 고인돌
-서산 : 서산 박첨지놀이. 가야산 사적지 주변, 서산 마애삼존불 주변, 보원사지, 해미읍성, 천주교 순례지, 명종대왕태실, 간월도, 창리
-서천 : 장암진성, 웅진명소, 한산읍성, 중고제, 금강하구, 장항도선장, 장항 송림, 홍성 : 결성읍성, 결성농요, 민속무용가 한성준, 임득의 장군 묘역, 김복한선생 유적지, 홍주성, 만해 한용운 생가지, 백야 김좌진 생가지, 노은서원, 옹암포구
-예산 : 남연군묘, 내포 보부상. 임존성, 대흥동헌 및 이성만형제 효제비, 대련사, 봉산 사면석불, 추사고택 및 화암사, 봉수산, 태안 : 태안읍성, 안흥성, 소근진성, 백화산성, 신두리사구, 황도
-당진 : 솔뫼성지, 안국사지, 면천읍성, 합덕제, 당진포진성, 기지시줄다리기
◉ 내포신도시의 인접지역과 나아가 충남 전역을 대상으로 포구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문화유산이 내포에 집결하여 펼쳐지는 '문화의 포구'가 형성되는 유산형 축제콘텐츠를 구상함
◉ 유·무형의 문화유산 원형과 현대에 맞도록 각색된 응용콘텐츠가 한자리에 모여 거대한 문화포구를 형성함
◉ 주요한 콘텐츠는 전시, 공연, 시연, 체험 등으로 내포신도시에서 펼쳐지고 축제장을 기점으로 각 지역의 포구흔적을 찾아 방문객의 이동이 전개되면서 축제의 효과는 충남전역으로 확산됨.
◉ 이는 문화유산을 주요소재로 전개하는 '에코뮤지엄'의 구성체계와 유사하다 할 수 있음

(2) 충남 수부지역의 상징성과 지역성을 고려한 축제콘텐츠
◉ 과거를 기반으로 현대 축제수요자의 욕구를 겨냥한 현재지향형 축제콘텐츠를 개발함
◉ 최근 맛있는 음식을 찾아다니며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음식과 관련된 신조어로 '이터테인먼트(Eatertainment)' 등장. 이터테인먼트란 '먹고 마신다(eat)'와 '즐긴다(entertainment)'가 합성된 신조어로, 먹으면서 즐기는 문화를 의미 웹진문화관광, '음식과 축제의 만남, 이터테인먼트 축제', kcti.re.kr/webzine2/webzineView.action?issue_count=102&menu_seq=3&board_seq=3, 2022.11.15.

◉ 음식은 축제라는 콘텐츠와 가장 잘 어울리는 콘텐츠임
-예부터 축제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음식이기도 하거니와 각 지역에서는 특산물이나 향토음식을 활용한 축제를 개최함
-많은 사람들이 어우러져 맛있는 음식을 먹고 축제를 즐기는 것은 축제 참가자들과 관광객들에게는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음
-최근에는 국내외에서 관광객을 사로잡기 위해 단순히 음식을 먹고 지역특산물을 판매하는 축제에서 벗어나 음식과 엔터테인먼트를 가미한 다양한 축제들이 개최되고 있음
[그림 ] 국내관광의 음식관광동향


자료 : 문화체육관광부(2019), 2018 국민여행조사


◉ 과거 물산과 사람이 드나드는 포구에서 상품의 음식재료와 다양한 입맛이 만나 탄생한 내포지역의 음식문화를 현재의 내포신도시에서 종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축제의 장이 구현됨
◉ 충남도는 관광객 설문을 통해 충남의 대표음식을 선정한 바 있음 충청남도 카드뉴스, '그냥 지나치면 두고두고 후회할 충남의 먹거리', chungnam.go.kr/media/mediaMain.do?article_no=MD0001276153&med_action=view&mnu_cd=CNNMENU02104, 2022.11.12.

-충남도가 도내 관광객과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15개 시·군별로 2개씩 대표음식을 선정하였음
-대표음식 30미(味)는 천안의 호두과자와 병천순대, 공주의 공주밤과 공주칼국수, 보령의 꽃게탕(찜)과 조개구이, 아산의 염치한우와 인주장어, 서산의 어리굴젓과 게국지·꽃게장, 논산의 딸기와 강경젓갈, 계룡의 산채비빔밥과 엿(물엿), 당징의 우렁쌈밥과 잔재미 회무침, 금산의 인삼튀김과 어죽, 부여의 연잎밥과 버섯전골, 서천의 모시송편과 한산소곡주, 청양의 고추·구기자와 구기자 불고기 전골, 홍성의 홍성한우와 대하구이, 예산의 소갈비와 수덕사 산채정식, 태안의 꽃게(간장·양념게장)와 대하구이 등
[그림 ] 충남대표음식 30미(味)


자료 : 충청남도(2018), 카드뉴스


◉ 음식은 충청남도의 수부이자 신생도시로서의 이미지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유행에 민감한 세대와 주민들의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임
◉ '충남 내포의 맛(Taste)'을 주제로 내포신도의 광장, 거리 등에서 푸드코트를 운영함

(3) 미래상을 고려한 축제콘텐츠
◉ 내포신도시의 대표명소로 지목된 곳의 디자인 건축물과 공원, 생활공간 및 주거지 등에서 펼쳐지는 'Garden & Art Festival(가든 앤 아트 페스티벌)'을 제안함
◉ 내포문화 발전의 최종 목표는 내포에 거주하는 지역민의 행복감을 높이는 데 있음. 그중 가장 핵심적인 곳은 내포신도시라 할 수 있음. 내포지역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내포지역민의 행복감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내포문화의 발전이 전제되어야 할 것임 박상언 (2012), 내포문화 발전 기본전략, 콘텐츠문화, 1, 237-261쪽.

◉ 거주하는 신도시 주민의 지역에 대해 느끼는 가치의 정도는 계량화된 목표로 설정된 건설토목과 정주인구확보 등과 상관성을 추정해 볼 수 있음
◉ 지역의 가치는 비경제적인 면에서 정주성, 이미지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 나도삼·백승만·공자원(2006), 문화환경이 지역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254쪽.

◉ 축제를 통해 내포신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지역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은 미래 내포신도시의 완성과 직결되는 문제라 할 수 있음
◉ 따라서, 정주성과 이미지를 높이기 위한 축제콘텐츠의 개발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음
◉ 살고 있는 지역에 건설되고 조성되는 각종 문화시설과 공원, 거주환경에 기여하는 인테리어와 도시디자인 등은 현재와 미래의 시민들에게 행복감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
◉ 신도시 거주민과 방문객에게 자랑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진 설문조사 임준홍(2018), 내포신도시 10 대 자랑거리 발굴과 정책제안.
에서 홍예공원, 충남도청사, 충남문화시설단지, 생활체육시설, 한옥마을과 아트빌리지, 안전하고 깨끗한 5무 도시 명소화, 내포혁신플랫폼, 문화예술거리, 게이트야간경관, 15개 시군 상징테마광장 등의 순으로 총 17개의 내포신도시 자랑거리가 지목되었음
◉ 신도시 완성정도에 따라 내포신도시 자랑거리는 변하거나 늘어날 수 있으나 공원과 도심의 명소, 공공디자인 건축물, 주거지 등에서 펼쳐지는 꽃과 수목 등 환경디자인과 인테리어와 장식 등의 생활예술을 포함한 'Garden & Art Festival(가든 앤 아트 페스티벌)'을 전개함
◉ 내포신도시 주민들은 아파트 거주지와 도로, 공원 등의 공간을 디자인하고 학습하면서 도시에 대한 애착심과 행복감을 증진할 수 있으며, 이는 미래 내포신도시의 시민문화로 정착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