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도정책과제
홈 > 연구보고서>도정책과제>완료된 도정책과제
내포신도시 성과평가 및 향후 발전방안 연구
- 기간
- 20220201 ~ 2023043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한상욱
- 연구자
- 이제이,유예나,오남경,최수민
목차
Ⅰ. 연구의 개요 1
1.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4
가. 공간적 범위 4
나. 시간적 범위 5
다. 내용적 범위 5
3. 연구 절차 6
가. 연구의 흐름 6
나. 추진경위 7
Ⅱ. 내포신도시 현황 및 여건 9
1. 내포신도시 현황 11
가. 내포신도시 사업개요 및 연혁 11
나. 추진 경과 12
다. 주요기관 12
라. 인구현황 13
마. 편의시설 13
2. 내포신도시 변경 현황 14
가. 충남도청(내포) 신도시 개발계획 개요 14
나.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20
3. 내포신도시 여건 23
가. 충남 혁신도시 지정 23
나. 민선8기 공약 24
Ⅲ. 내포신도시 평가 25
1. 평가 개요 27
2. 평가방법 28
가. 관련 연구 성과평가 지표 28
1) 혁신도시 성과평가 지표 28
2) 신도시 평가지표 30
나. 평가지표(안) 도출 32
다. 평가항목 결정 34
1) 가중치 설정 34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결정 35
3. 평가 결과 36
가. 건설영향 평가 36
1) 정책 및 거버넌스 분석 36
2) 영향 및 파급효과 45
나. 삶의 질 평가 49
1) 전반적 만족도 49
2) 분야별 만족도 52
다. 건설효과 분석 53
Ⅳ. 정책 동향 검토 및 사례 조사 55
1. 정책 동향 57
가. 혁신도시 정책 개요 57
나. 혁신도시 시즌2 60
다. 정책 추진여건 변화 61
2. 사례 조사 62
가. 국내사례 62
1) 전남도청 신도시(남악신도시) 62
2) 경북도청이전 신도시 66
3) 혁신도시 70
4) 시사점 77
나. 해외 탄소중립도시 사례 78
1) 도시계획·토지이용 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이행 사례 78
2) 도시공간 조성·관리와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계사례 80
Ⅴ. 발전방향 83
1. 발전방향 85
2. 정책지표 86
가. 지표 적정성 검토 86
나. 지표 수정 필요성 검토 87
다. 지표 개선 방향 88
3. 주민 설문조사 89
가. 조사 개요 89
나. 주민 설문조사 결과 90
1) 분야별 인식도 90
2) 상생발전 105
3) 내포신도시 미래발전방향 108
4. 주요 쟁점별 개선방안 111
가. 취약분야 보완 사항 111
나. 단계별 개발계획 시기, 목표, 재검토 및 새로운 발전단계 114
다. 성장관리 방안 115
1) 성장관리의 필요성 115
2) 신도시 주변지역 관리 사례 116
3) 내포신도시 주변지역 관리방안 117
라. 연계협력 방안 119
1. 배경 및 목적 3
2. 연구 범위 4
가. 공간적 범위 4
나. 시간적 범위 5
다. 내용적 범위 5
3. 연구 절차 6
가. 연구의 흐름 6
나. 추진경위 7
Ⅱ. 내포신도시 현황 및 여건 9
1. 내포신도시 현황 11
가. 내포신도시 사업개요 및 연혁 11
나. 추진 경과 12
다. 주요기관 12
라. 인구현황 13
마. 편의시설 13
2. 내포신도시 변경 현황 14
가. 충남도청(내포) 신도시 개발계획 개요 14
나.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20
3. 내포신도시 여건 23
가. 충남 혁신도시 지정 23
나. 민선8기 공약 24
Ⅲ. 내포신도시 평가 25
1. 평가 개요 27
2. 평가방법 28
가. 관련 연구 성과평가 지표 28
1) 혁신도시 성과평가 지표 28
2) 신도시 평가지표 30
나. 평가지표(안) 도출 32
다. 평가항목 결정 34
1) 가중치 설정 34
2)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 결정 35
3. 평가 결과 36
가. 건설영향 평가 36
1) 정책 및 거버넌스 분석 36
2) 영향 및 파급효과 45
나. 삶의 질 평가 49
1) 전반적 만족도 49
2) 분야별 만족도 52
다. 건설효과 분석 53
Ⅳ. 정책 동향 검토 및 사례 조사 55
1. 정책 동향 57
가. 혁신도시 정책 개요 57
나. 혁신도시 시즌2 60
다. 정책 추진여건 변화 61
2. 사례 조사 62
가. 국내사례 62
1) 전남도청 신도시(남악신도시) 62
2) 경북도청이전 신도시 66
3) 혁신도시 70
4) 시사점 77
나. 해외 탄소중립도시 사례 78
1) 도시계획·토지이용 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이행 사례 78
2) 도시공간 조성·관리와 온실가스 감축방안 연계사례 80
Ⅴ. 발전방향 83
1. 발전방향 85
2. 정책지표 86
가. 지표 적정성 검토 86
나. 지표 수정 필요성 검토 87
다. 지표 개선 방향 88
3. 주민 설문조사 89
가. 조사 개요 89
나. 주민 설문조사 결과 90
1) 분야별 인식도 90
2) 상생발전 105
3) 내포신도시 미래발전방향 108
4. 주요 쟁점별 개선방안 111
가. 취약분야 보완 사항 111
나. 단계별 개발계획 시기, 목표, 재검토 및 새로운 발전단계 114
다. 성장관리 방안 115
1) 성장관리의 필요성 115
2) 신도시 주변지역 관리 사례 116
3) 내포신도시 주변지역 관리방안 117
라. 연계협력 방안 119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