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정책사업과제(특별)
홈 > 연구보고서>정책사업과제(특별)>진행중인 정책사업과제(특별)
시민과학 활용 지역 환경 DB구축
- 기간
- 20230701 ~ 2023123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이상신
- 파일다운로드
- 정책지원_2023-05.pdf
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시민과학의 정의와 중요성
3. 시민과학의 역할과 기여도
4. 시민환경과학 활용 사례 연구
4.1 사례연구 추진 절차
(1) 데이터 수집 분야 선정
(2) 참여자 모집 및 방법
(3) 데이터 수집 도구 개발
(4) 데이터 수집 및 검증
4.2 데이터 수집 툴 개발
5. 결론 및 제언
2. 시민과학의 정의와 중요성
3. 시민과학의 역할과 기여도
4. 시민환경과학 활용 사례 연구
4.1 사례연구 추진 절차
(1) 데이터 수집 분야 선정
(2) 참여자 모집 및 방법
(3) 데이터 수집 도구 개발
(4) 데이터 수집 및 검증
4.2 데이터 수집 툴 개발
5. 결론 및 제언
내용
근 지역 주거환경 개선 요구가 증가하면서 악취 관련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민원 해결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민과학을 활용한 악취 데이터베이스(DB)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시민과학은 비전문가가 과학 연구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활동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참여와 과학에 대한 이해 증진, 정책 결정 지원이 가능하다.
연구에서는 충남 당진시를 대상으로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악취 측정 앱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악취 DB를 구축하였다. 앱은 자원봉사센터에서 활용 중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봉사자 정보 입력, GPS 기반 위치 기록, 악취 정도 입력(1~5단계), 발생 원인 선택, 관리자 페이지에서 데이터 취합 및 시각화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자원봉사자에게는 봉사점수를 부여해 참여를 유도하였다.
시민과학의 적용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데이터 수집 분야 선정, 참여자 모집 및 교육, 데이터 수집 도구 개발, 데이터 수집 및 검증이다. 특히 당진시의 악취 문제는 지역민의 생활환경과 직결되는 만큼, 참여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교육과 참여 인센티브, 네트워킹 등의 방식을 통해 시민참여의 질과 지속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앱 개발 시에는 참여자의 접근성과 데이터 신뢰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와 기본 통계기능을 제공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풍향과 날씨 등 외부 환경요인과의 연계 기능도 포함되어 분석에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당진시에서 시범적으로 악취 DB를 구축하였으며,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 기반이 마련되었다. 다만 단기간에 수집된 데이터는 정책 활용에는 한계가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의 운영과 지속적인 참여 유도,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해당 앱을 충남 전체 혹은 다른 지역으로 확대 적용하고, 장기간 축적된 악취 DB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지역 악취 정책 수립 및 개선 사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과학은 지역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접근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충남 당진시를 대상으로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악취 측정 앱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악취 DB를 구축하였다. 앱은 자원봉사센터에서 활용 중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봉사자 정보 입력, GPS 기반 위치 기록, 악취 정도 입력(1~5단계), 발생 원인 선택, 관리자 페이지에서 데이터 취합 및 시각화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자원봉사자에게는 봉사점수를 부여해 참여를 유도하였다.
시민과학의 적용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다: 데이터 수집 분야 선정, 참여자 모집 및 교육, 데이터 수집 도구 개발, 데이터 수집 및 검증이다. 특히 당진시의 악취 문제는 지역민의 생활환경과 직결되는 만큼, 참여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교육과 참여 인센티브, 네트워킹 등의 방식을 통해 시민참여의 질과 지속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앱 개발 시에는 참여자의 접근성과 데이터 신뢰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와 기본 통계기능을 제공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풍향과 날씨 등 외부 환경요인과의 연계 기능도 포함되어 분석에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당진시에서 시범적으로 악취 DB를 구축하였으며,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 기반이 마련되었다. 다만 단기간에 수집된 데이터는 정책 활용에는 한계가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의 운영과 지속적인 참여 유도,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해당 앱을 충남 전체 혹은 다른 지역으로 확대 적용하고, 장기간 축적된 악취 DB를 기반으로 실질적인 지역 악취 정책 수립 및 개선 사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과학은 지역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접근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