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인 도정책과제

> 연구보고서>도정책과제>진행중인 도정책과제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중장기 모니터링 연구(1차년도)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중장기 모니터링 연구(1차년도)

기간
20230110 ~ 20240131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윤종주
연구자
이상신,김종범,이상우,송혜영
파일다운로드
내지_[최종보고서] 2023년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중장기 모니터링 연구(240229)(3).pdf
목차
제 1 장 연구 개요 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3
1) 연구의 목적 3
2) 시간적·공간적 범위 3
3) 내용적 범위 4
3. 연구 내용 4
1)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조사 4
2) 연안환경측정망 운영을 통한 현장자료의 분석 9
3)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조사 자료와 연계 분석 9
4) 차년도 연안환경측정망 운영계획 개선·개정 의견 제시 9
5) 모니터링 정보공개 계획 수립 9
4. 법적 근거 10
1) 관련 계획 10
2) 관련 법령 12

제 2 장 연안환경측정망 정기조사 15
1. 조사 개요 15
2. 조사 방법 16
1) 시료 채취 방법 16
2)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21
3) 회수율 30
3. 조사 결과 33
1) 해양 수질 33
2) 해양 퇴적물 118
3) 해양생물(굴) 162
4. 결과 요약 169
1) 해양 수질 169
2) 해양 퇴적물 169
3) 해양 생물 169

제 3 장 연안환경측정망 특별조사 173
1. 조사 개요 173
2. 조사 방법 173
1) 시료 채취 방법 173
2)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174
3. 조사 결과 175
1) 담수호 수질 175
2) 담수호 퇴적물 194
4. 결과 요약 218
1) 담수호 수질 218
2) 담수호 퇴적물 218

제 4 장 충청남도 연안환경 변화 223
1. 개요 223
2. 해양 수질 224
1) 수온 224
2) 염분 228
3) 용존산소 234
4) 영양염류 237
5) 엽록소 a 242
6) 수질평가지수(WQI) 245
3. 해양 퇴적물 253
1) 입도 조성 및 퇴적상 253
2) 강열감량(IL)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254
3) 산휘발성황화물(AVS) 및 총유기탄소(TOC) 255
4) 미량금속(중금속) 256
4. 해양생물(굴) 259
5. 주요 담수호 261
1) 아산만 262
2) 천수만 264
3) 금강 하구 266
6. 결과 요약 267
1) 해양 267
2) 주요 담수호 267

제 5 장 결론 및 차년도 운영방안 271
1. 결론 및 요약 271
1) 해양 271
2) 담수호 272
2. 차년도 운영방안 273
1) 연안환경측정망 2단계(`21~`25년) 사업 지속 추진 273
2) 지속적인 특별조사 기획 실시 273
3. 활용 계획 274
1) 해수소통형 갯벌생태복원사업 추진 지원 274
2)「충청남도 연안하구·담수호 모니터링 연구사업」계획 수립 추진 274
3) 담수호 방류 영향 최소화 방안 수립 지원 274
4) 아산만 수질 및 생태환경 개선을 위한 경기도와 협력 연구 지원 274
5) 일본 원전오염수 방류 시나리오에 따른 도 대응계획 및 감시망 구축 274

참 고 문 헌 279

부 록 283
1. 충청남도 내 호소 조사 현황 285
2. 환경부 수질 및 수생태계(호소) 생활환경 기준 287
3.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288
4. 해양환경 기준 290
내용
제 1 장 연구 개요 3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3
1) 연구의 목적 3
2) 시간적·공간적 범위 3
3) 내용적 범위 4
3. 연구 내용 4
1)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조사 4
2) 연안환경측정망 운영을 통한 현장자료의 분석 9
3) 국가 해양환경측정망 조사 자료와 연계 분석 9
4) 차년도 연안환경측정망 운영계획 개선·개정 의견 제시 9
5) 모니터링 정보공개 계획 수립 9
4. 법적 근거 10
1) 관련 계획 10
2) 관련 법령 12

제 2 장 연안환경측정망 정기조사 15
1. 조사 개요 15
2. 조사 방법 16
1) 시료 채취 방법 16
2)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21
3) 회수율 30
3. 조사 결과 33
1) 해양 수질 33
2) 해양 퇴적물 118
3) 해양생물(굴) 162
4. 결과 요약 169
1) 해양 수질 169
2) 해양 퇴적물 169
3) 해양 생물 169

제 3 장 연안환경측정망 특별조사 173
1. 조사 개요 173
2. 조사 방법 173
1) 시료 채취 방법 173
2)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174
3. 조사 결과 175
1) 담수호 수질 175
2) 담수호 퇴적물 194
4. 결과 요약 218
1) 담수호 수질 218
2) 담수호 퇴적물 218

제 4 장 충청남도 연안환경 변화 223
1. 개요 223
2. 해양 수질 224
1) 수온 224
2) 염분 228
3) 용존산소 234
4) 영양염류 237
5) 엽록소 a 242
6) 수질평가지수(WQI) 245
3. 해양 퇴적물 253
1) 입도 조성 및 퇴적상 253
2) 강열감량(IL) 및 화학적산소요구량(COD) 254
3) 산휘발성황화물(AVS) 및 총유기탄소(TOC) 255
4) 미량금속(중금속) 256
4. 해양생물(굴) 259
5. 주요 담수호 261
1) 아산만 262
2) 천수만 264
3) 금강 하구 266
6. 결과 요약 267
1) 해양 267
2) 주요 담수호 267

제 5 장 결론 및 차년도 운영방안 271
1. 결론 및 요약 271
1) 해양 271
2) 담수호 272
2. 차년도 운영방안 273
1) 연안환경측정망 2단계(`21~`25년) 사업 지속 추진 273
2) 지속적인 특별조사 기획 실시 273
3. 활용 계획 274
1) 해수소통형 갯벌생태복원사업 추진 지원 274
2)「충청남도 연안하구·담수호 모니터링 연구사업」계획 수립 추진 274
3) 담수호 방류 영향 최소화 방안 수립 지원 274
4) 아산만 수질 및 생태환경 개선을 위한 경기도와 협력 연구 지원 274
5) 일본 원전오염수 방류 시나리오에 따른 도 대응계획 및 감시망 구축 274

참 고 문 헌 279

부 록 283
1. 충청남도 내 호소 조사 현황 285
2. 환경부 수질 및 수생태계(호소) 생활환경 기준 287
3.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 288
4. 해양환경 기준 290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