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현안과제
홈 > 연구보고서>현안과제>완료된 현안과제
청년일자리사업 현황분석 및 충남 청년일자리 연계방안 연구
- 기간
- 20250115 ~ 2025033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박춘섭
목차
1. 연구목적 및 방법
2. 청년일자리 현황
3. 청년일자리정책 분석
4. 일자리사업 사례분석
5. 정책제언
2. 청년일자리 현황
3. 청년일자리정책 분석
4. 일자리사업 사례분석
5. 정책제언
내용
◦ (배경과 목적) 양호한 청년고용률과 달리 '쉬었음' 청년급증은 청년일자리사업의 효과적 추진에 대한 재검토를 제기. 따라서 연구는 사업현황과 연계방안 중심으로 분석
◦ (현황) 충남 청년일자리 특징은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미흡. 청년남성과 격차 및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 집중. 이는 충남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기인으로 해석
◦ (중앙) 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중소벤처사업부를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인턴), 직업훈련, 고용서비스와 창업지원 등을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부처의 산하기관·유관단체에서 대부분 진행
◦ (충남) 충남 청년일자리사업은 청년정책관실과 산업경제실을 중심으로 창업지원, 직접일자리, 직업훈련 등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지자체와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진행. 특히 사업내용 측면에서 스마트팜 등 농업 분야의 규모있는 지원이 특징적
◦ (사례) 수행기관 사례를 통해 ①인턴채용 등 일자리문화의 미흡, ②사업추진뿐만 아니라 사업 구상시 거버넌스의 기관협력 필요 노정
◦ (정책제안)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①충남청년 생활창업학교 인프라 조성, ②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 참여기관 통합선발, ③충남 청년일자리 거버넌스 구축을 제시. 중장기 방안으로 ①일자리 인턴문화 확대 및 메뉴얼 개발, ②여성친화일자리 등 새로운 일자리 전략 추진 등을 제안
◦ (현황) 충남 청년일자리 특징은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미흡. 청년남성과 격차 및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 집중. 이는 충남의 제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기인으로 해석
◦ (중앙) 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은 고용노동부·중소벤처사업부를 중심으로 직접일자리(인턴), 직업훈련, 고용서비스와 창업지원 등을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부처의 산하기관·유관단체에서 대부분 진행
◦ (충남) 충남 청년일자리사업은 청년정책관실과 산업경제실을 중심으로 창업지원, 직접일자리, 직업훈련 등 추진 중이며, 사업수행은 지자체와 산하기관을 중심으로 진행. 특히 사업내용 측면에서 스마트팜 등 농업 분야의 규모있는 지원이 특징적
◦ (사례) 수행기관 사례를 통해 ①인턴채용 등 일자리문화의 미흡, ②사업추진뿐만 아니라 사업 구상시 거버넌스의 기관협력 필요 노정
◦ (정책제안)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①충남청년 생활창업학교 인프라 조성, ②중앙정부 청년일자리사업 참여기관 통합선발, ③충남 청년일자리 거버넌스 구축을 제시. 중장기 방안으로 ①일자리 인턴문화 확대 및 메뉴얼 개발, ②여성친화일자리 등 새로운 일자리 전략 추진 등을 제안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