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현안과제
홈 > 연구보고서>현안과제>완료된 현안과제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유형화와 타당성 검토
- 기간
- 20250307 ~ 20250606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이관률
목차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생활인구의 개념과 부여군의 특징
3. 생활인구정책의 목록화와 대상사업의 선정
4.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유형화와 타당성 검토
5. 결론 및 개선방안
2. 생활인구의 개념과 부여군의 특징
3. 생활인구정책의 목록화와 대상사업의 선정
4.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유형화와 타당성 검토
5. 결론 및 개선방안
내용
◦ 부여군은 48개의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정주인구사업, 체류인구사업, 외국인사업, 정주+체류인구사업으로 유형화됨. ◦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은 정주인구사업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고, 정주인구사업과 외국인사업은 청년 중심, 그 외 유형은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민관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향후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부여군은 청년, 여성, 외국인을 중심으로 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고, 이와 더불어 3~5일 단기체류와 30일 이상의 장기 체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둘째, 기존 정주인구사업 중심에서 탈피하여 체류인구사업과 외국인사업을 보다 확대해야 할 것임.
- 셋째, 사후평가를 통해 반복되는 사업을 폐지하고, 체류인구사업, 외국인사업, 정주+체류인구사업의 목표 일치성이 제고되어야 함. - 넷째, 아동과 청년을 중심으로 특성화된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정주인구사업에서는 돌봄복지, 체류인구사업에서는 단기체류 및 교류강화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임.
- 다섯째, 부여읍을 중심으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하고, 관내 단체 및 대외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임.
◦ 향후 부여군 생활인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부여군은 청년, 여성, 외국인을 중심으로 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고, 이와 더불어 3~5일 단기체류와 30일 이상의 장기 체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
- 둘째, 기존 정주인구사업 중심에서 탈피하여 체류인구사업과 외국인사업을 보다 확대해야 할 것임.
- 셋째, 사후평가를 통해 반복되는 사업을 폐지하고, 체류인구사업, 외국인사업, 정주+체류인구사업의 목표 일치성이 제고되어야 함. - 넷째, 아동과 청년을 중심으로 특성화된 정책을 추진해야 하고, 정주인구사업에서는 돌봄복지, 체류인구사업에서는 단기체류 및 교류강화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임.
- 다섯째, 부여읍을 중심으로 생활인구정책을 추진하고, 관내 단체 및 대외 기관과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임.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