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획전략(2011년 이전)

> 연구보고서>구기획전략(2011년 이전)

도시브랜드 마케팅수단으로서 공공디자인 적용방향 연구

도시브랜드 마케팅수단으로서 공공디자인 적용방향 연구

기간
20100101 ~ 20101231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이충훈
연구자
남택영,윤홍열,권영현
파일다운로드
R101226-도시브랜드 마케팅수단으로서 공공디자인 적용방향 연구(이충훈).pdf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선행연구의 검토
1) 선행연구의 검토
2) 선행연구의 차별성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3) 용어의 정리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추진사례

1. 도시브랜드 배경 및 정체성
1) 도시브랜드 도입배경
2)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2. 도시브랜드 마케팅 추진방향
1) 도시마케팅 전략
2) 도시브랜드 마케팅 추진방향
3) 도시브랜드 마케팅 수단으로서 공공디자인
4) 추진사례

제3장 설문조사 및 분석

1. 충남 시 군 도시브랜드 마케팅 현황
1) 현황
2) 시사점

2. 설문조사 분석 및 시사점
1) 설문조사 및 분석
2) 현황분석
3) 시사점

제4장 공공디자인 적용방향

1. 적용방향 및 가이드라인
1) 적용방향
2) 공적 및 사적 영역 디자인계획

2. 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한 추진방안
1) 추진방안
2) 유형별 가이드라인

제5장 결론

1. 결론
2. 정책제언
3. 연구의 제한점

참고문헌
내용
도시 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도시브랜드를 통해 도시 가치를 높이고 지역을 활성화하려는 전략이 강조된다. 공공디자인은 도시브랜드 구축의 핵심 수단으로, 도시의 이미지와 일관성 있는 아이덴티티 형성을 목표로 한다.

단순한 디자인 개선을 넘어서 도시의 역사, 문화, 환경과 조화되는 통합적 디자인 접근이 필요하며, 주민 참여와 지역 특성 반영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도시만의 정체성과 차별성을 구현하는 것이 중점이다.

충청남도는 “자연을 품은 명품충남”이라는 비전 아래, 공공공간·공공시설물·공공정보매체를 포함한 주요 영역에 지역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자 한다.

TIP(Town Identity Program)은 도시공간 속에서 도시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체계로, 조망, 조명, 구조물 등 요소별 일관성을 통해 통합적 이미지 구축을 도모한다.

실현 방안으로는 시설 중요도에 따른 디자인 적용 비중 조절, 다양한 이해당사자 의견 수렴, 각 시군의 계획 수립 유도 등이 제시된다. 이는 예산 현실성과 지역 간 조화 모두를 고려한 접근이다.

최종적으로 도시브랜드 마케팅은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공공디자인 추진으로 이어져야 하며, 도시 경쟁력 강화와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전략적 도구로 활용되어야 한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백승헌 연락처 : 041-840-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