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획전략(2011년 이전)

> 연구보고서>구기획전략(2011년 이전)

U-Eco City 계획모델 구축 및 적용방안

U-Eco City 계획모델 구축 및 적용방안

기간
20100101 ~ 20101231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오용준
연구자
이상호,홍경구,김경석
파일다운로드
R101204-U-Eco City 계획모델 구축 및 적용방안(오용준).pdf
목차
제1장 머리말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제2장 관련연구?정책?제도 동향과 시사점

1. 관련연구

1) U-City 관련 연구

2) Eco City 연구

3) U-Eco City 연구

2. 관련정책 및 제도동향

1) Eco City 관련제도

2) U-City 관련제도 및 정책동향

3) 시사점



제3장 U-Eco City 계획모델: 계획의 개념과 계획요소 도출

1. U-Eco City 계획의 개념

1) U-Eco City의 개념

2) U-Eco City 계획의 개념과 기본방향

2. U-Eco City 계획요소 도출

1) U-Eco City 계획요소 도출방법

2) 1단계: U-City 계획요소 발굴

3) 2단계: Eco City 계획요소 발굴

4) 3단계: U-Eco City 계획요소의 도출과 공간적 적용



제4장 U-Eco City 계획요소의 적용방안

1. U-Eco City 계획요소의 개념과 적용내용

1) 토지이용 부문

2) 교통 및 물류 부문

3) 공원 및 녹지 부문

4) 수순환체계 부문

5) 자원재활용 부문

6) 건축 부문

7) 신재생에너지 부문

2. U-Eco City 계획요소의 적용방법 및 추진전략

1) U-Eco City 계획요소의 적용방법

2) U-Eco City의 추진전략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및 요약

2. 정책적 활용 및 향후 연구과제

1) 연구의 정책적 활용방안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 부록 1. 전문가 설문조사지

※ 부록 2.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결과

※ 부록 3. U-Eco City 선진사례

※ 부록 4. 유비쿼터스도시계획수립지침

내용
1. 연구 배경 및 목적



(사회적 요구의 부합성)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을 위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단순한 양적 측면의 도시팽창보다 첨단 기술을 통한 편리성 증진, 도시의 안정성 확보, 자연생태계와의 공생, 그리고 이를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 등으로 패러다임이 새롭게 바뀌고 있다. 최근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됨이 없이 원격근무가 가능한 스마트워크(Smart Walk)가 현대 사회에 다양하게 도출되고 있는 이들 사회적인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적 요구의 부합성) 최근 우리나라는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의 일환으로 세계 최초로 국가 주도의 U-City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이후 생략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백승헌 연락처 : 041-840-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