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홈 > 연구보고서>통합검색
충청남도 종합계획 (2011~2020년) (안)
- 기간
- 20100324 ~ 2012033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성태규
- 파일다운로드
-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종합계획 (2011~2020년) (안)_관리자_20160722_[1-0-0] 기본구상_총괄_111224.pdf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종합계획 (2011~2020년) (안)_관리자_20160722_[2-0-0] 부문별 계획_111224.pdf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종합계획 (2011~2020년) (안)_관리자_20160722_[3-0-0] 행정 재정계획_111224.pdf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종합계획 (2011~2020년) (안)_관리자_20160722_[4-0-0] 시군별발전방향_111224_최종.pdf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종합계획 (2011~2020년) (안)_관리자_20160722_[4-0-2] 부록-원계획과 비교_111224.pdf
목차
1. 기본구상
2. 부문별 계획
3. 계획의 집행과 관리
4. 시군별 발전방향
부록
2. 부문별 계획
3. 계획의 집행과 관리
4. 시군별 발전방향
부록
내용
1. 계획수립의 배경과 목적
가. 계획수립의 배경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과 연계
· 「국토기본법」제19조의 규정에 의거 2010년 12월「제4차 국토종합 계획 수정계획(2011-2020)」이 재수립․확정되었으며, 그 하위계획인 도종합계획 역시 이에 연계하여 수정계획을 수립함
❚ 시대적 변화, 국정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충남도정의 능동적 대응
· FTA의 확대에 따라 지역산업구조의 혁신이 요구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녹색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또한 세계적 경기침체의 장기화가 전망됨에 다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지역의 산업전략과 경기침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처가 요구되고 있음. 이에 외부의 영향과 의존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도의 발전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도청이전 등에 따른 새로운 지역발전구도 설정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도청이전에 따른 새로운 지역발전 비전과 전략을 선택하는 한편, 고속철도, 고속도로 등 국가간선망 건설의 파급효과를 지역발전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이후 생략
가. 계획수립의 배경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2011∼2020)」과 연계
· 「국토기본법」제19조의 규정에 의거 2010년 12월「제4차 국토종합 계획 수정계획(2011-2020)」이 재수립․확정되었으며, 그 하위계획인 도종합계획 역시 이에 연계하여 수정계획을 수립함
❚ 시대적 변화, 국정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충남도정의 능동적 대응
· FTA의 확대에 따라 지역산업구조의 혁신이 요구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녹색성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또한 세계적 경기침체의 장기화가 전망됨에 다라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지역의 산업전략과 경기침체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처가 요구되고 있음. 이에 외부의 영향과 의존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도의 발전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도청이전 등에 따른 새로운 지역발전구도 설정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과 도청이전에 따른 새로운 지역발전 비전과 전략을 선택하는 한편, 고속철도, 고속도로 등 국가간선망 건설의 파급효과를 지역발전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이후 생략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정우철 연락처 : 041-840-1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