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수탁과제

> 연구보고서>수탁과제>완료된 수탁과제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용역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용역

기간
20111024 ~ 20120620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임준홍
연구자
김윤아,고승희,권영현,조영재,윤정미,임형빈,이윤경,김정하
파일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부여도심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26_1.pdf
목차
제1장 과업개요 1

1. 과업 배경과 목적 3

2. 연구 방법과 진행과정 5



제2장 상권활성화제도와 선진사례 7

1. 상권활성화제도의 이해 9

2. 상권활성화사업 관련 선진사례 18



제3장 현황 및 여건 분석 25

1. 부여군 현황 26

2. 부여도심 현황 36

3. 도심상권 특성 분석 38

4. 상인의식 분석 46

5. 종합분석 56



제4장 상권활성화구역 설정 59

1. 대안 선정 61

2. 대안 검토 및 최종(안) 선정 62

3. 최종(안) 특성 66



제5장 상권활성화사업 기본구상 73

1. 부여도심 관련 사업 검토 75

2. 사업 선정원칙과 기본 구상 79

3. 사업계획 86



제6장 상권활성화기구 구성 및 운영 91

1. 상권관리기구의 개요 93

2. 상권활성화기구 관련 선진사례 94

3. 부여도심 상권활성화기구 구성 및 운영방안 109



◎ 붙임자료 115

(붙임자료 1) 공무원, 상인, 의회 등 의견수렴 자료 121

(붙임자료 2) 부여 도심상권 실태조사 143

(붙임자료 3) 상권활성화사업 운영지침 149

내용
1) 과업의 배경

❍ 중앙시장과 부여시장을 중심으로 형성된 부여 도심상권은 옛 부터 생활의 중심지였으며, 지금은 세력이 많이 약해 졌지만 여전히 지역상권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 부여 도심상권은 부여군 인구감소와 전통시장의 쇠퇴, 대전 등 주변도시의 성장, 소비자 패턴의 변화 등으로 침체·쇠퇴되고 있음

❍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여 왔지만 지역상권 활성화에는 한계에 부딪침

❍ 이에 국가는 2010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을 개정하여,'상권활성화구역제도'를 도입함

- 상권활성화구역제도는 전통시장과 상점가, 소매 및 서비스업 밀집지역을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하여, 지역상권의 중심지로 육성하고자하는 제도임

- 전통시장을 포함하여 소매업 및 서비스업이 밀집된 지역을 도시재생의 관점에서 지역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로서, 일본의 '중심시가지 활성화'정책과 유사함



2) 과업의 목적

❍ 본 과업은 부여전통시장과 중앙시장을 중심으로 지역상권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해 온 지역을 대상으로, 새롭게 도입된 상권활성화구역제도의 적용이 가능한가를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는 것임

❍ 본 과업의 결과물은 향후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신청 및 상권활성화구역 사업계획 승인 신청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이후 생략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