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수탁과제
홈 > 연구보고서>수탁과제>완료된 수탁과제
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1차)
- 기간
- 20111107 ~ 20120912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이상진
- 연구자
- 최승호,이관희,허재영,유진수,최병조,김홍수,오혜정,김영일,정우혁,최정호,박상현,조병욱,문은호
- 파일다운로드
- [홈페이지원문공개]금강정비사업 이후 수환경모니터링 연구용역 (1차)_관리자_20160314_본보고서.pdf
목차
Ⅰ 서론
1 연구 개요
* 금강유역 일반현황
* 금강정비사업 개요
* 금강 모니터링의 필요성
* 과업의 목적 및 범위
* 조사연구 방법
Ⅱ 금강 모니터링
1 수질 모니터링
* 모니터링의 중요성
* 국가 수질측정망
* 수질 모니터링 방법
* 수질 조사지점
* 수질 측정결과
* 측정 결과 분석
* 차년도 수질 모니터링 방안 및 계획
2 수변생태 모니터링
* 생태계 변화관찰
* 생태 정밀 모니터링 위한 중요지점 발굴
3 하상변화 모니터링
* 하상변동
* 보
* 하상관리 계획 검토
* 단면 측량
* 단면 측량 결과
* 측량결과 검토
* 차년도 하상변화 모니터링 계획
4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평가
*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정리
*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여부 평가
Ⅲ 모니터링 결과
* 수질
* 수변생태
* 하상변화
*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평가
Ⅳ 금강 모니터링 계획
* 차년도 수환경 모니터링 계획
부록
1 연구 개요
* 금강유역 일반현황
* 금강정비사업 개요
* 금강 모니터링의 필요성
* 과업의 목적 및 범위
* 조사연구 방법
Ⅱ 금강 모니터링
1 수질 모니터링
* 모니터링의 중요성
* 국가 수질측정망
* 수질 모니터링 방법
* 수질 조사지점
* 수질 측정결과
* 측정 결과 분석
* 차년도 수질 모니터링 방안 및 계획
2 수변생태 모니터링
* 생태계 변화관찰
* 생태 정밀 모니터링 위한 중요지점 발굴
3 하상변화 모니터링
* 하상변동
* 보
* 하상관리 계획 검토
* 단면 측량
* 단면 측량 결과
* 측량결과 검토
* 차년도 하상변화 모니터링 계획
4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평가
*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정리
*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여부 평가
Ⅲ 모니터링 결과
* 수질
* 수변생태
* 하상변화
* 환경영향평가 협의사항 이행평가
Ⅳ 금강 모니터링 계획
* 차년도 수환경 모니터링 계획
부록
내용
금강정비사업은 2009년 착공해 2012년 완료된 대규모 하천정비사업으로, 세종보·공주보·백제보 설치, 준설, 제방보강, 생태하천 조성 등이 포함됨. 하천 생태계 변화, 수질 악화, 하상변동 우려가 제기되면서 사업 전후의 수환경 모니터링 필요성이 강조됨.
수환경 모니터링은 수질, 수변생태, 하상변화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시행되며, 2011~2012년 차년도 사업에서는 금강 본류와 지류의 수질 변화, 동식물 분포, 퇴적·침식 여부를 집중 조사함. 조사지점은 금산부터 군산까지 금강 전 구간에 설정됨.
수질 모니터링 결과, 보 설치로 인해 체류시간이 길어지며 BOD, T-N, T-P 등의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녹조 현상도 일부 구간에서 확인됨. 물리적 흐름의 정체로 수질 악화 위험성이 커졌으며, 이는 하류 생태계 건강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
수변 생태조사에서는 습지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고, 일부 구간에서는 교란종이 확산되는 경향이 관측됨. 생물 서식지의 단조화, 생태축 단절 등도 문제가 되며, 시민단체 참여를 통한 지속적 현장관찰이 추진됨.
하상변화 모니터링 결과, 보 설치로 인한 유속 저하와 함께 침식 및 퇴적 양상이 불균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하천 안정성 저해와 구조물 지반 안정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단면 측량을 통해 평형하천 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이 제시됨.
보고서는 향후 금강 수환경 보전을 위해 중장기 모니터링 지속, 환경영향평가 이행여부 점검, 주민·전문가 참여형 감시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수자원 관리 기반 마련을 촉구함.
수환경 모니터링은 수질, 수변생태, 하상변화 등 3대 분야를 중심으로 시행되며, 2011~2012년 차년도 사업에서는 금강 본류와 지류의 수질 변화, 동식물 분포, 퇴적·침식 여부를 집중 조사함. 조사지점은 금산부터 군산까지 금강 전 구간에 설정됨.
수질 모니터링 결과, 보 설치로 인해 체류시간이 길어지며 BOD, T-N, T-P 등의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녹조 현상도 일부 구간에서 확인됨. 물리적 흐름의 정체로 수질 악화 위험성이 커졌으며, 이는 하류 생태계 건강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
수변 생태조사에서는 습지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고, 일부 구간에서는 교란종이 확산되는 경향이 관측됨. 생물 서식지의 단조화, 생태축 단절 등도 문제가 되며, 시민단체 참여를 통한 지속적 현장관찰이 추진됨.
하상변화 모니터링 결과, 보 설치로 인한 유속 저하와 함께 침식 및 퇴적 양상이 불균형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하천 안정성 저해와 구조물 지반 안정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단면 측량을 통해 평형하천 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이 제시됨.
보고서는 향후 금강 수환경 보전을 위해 중장기 모니터링 지속, 환경영향평가 이행여부 점검, 주민·전문가 참여형 감시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수자원 관리 기반 마련을 촉구함.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