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현안과제

> 연구보고서>현안과제>완료된 현안과제

청양군 도시재생 방향 및 전략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청양군 도시재생 방향 및 전략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기간
20120924 ~ 20130527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한상욱
연구자
이상준,김정연
파일다운로드
13-0527-청양(청양) 도시재생 방향(한상욱).pdf
목차
Ⅰ. 청양군 도시쇠퇴 실태 분석 3

1. 청양군 일반 현황 3

2. 인구부문 4

3. 산업․경제부문 6

4.청양군의주요쇠퇴요인 8



Ⅱ. 도시재생 정책 검토 9

1. 도시재생의 개념 및 계획 체계 9

2. 도시재생사업의 지원부문 및 사업유형 11

3. 도시재생계획 수립 절차 14



Ⅲ. 청양군(청양읍) 도시재생 목표 및 전략 15



Ⅳ.추진전략별추진방향(안) 16

1.주변지역과 함께 상생발전하는 중심거점기능의 강화 16

2.누구나 함께 즐기는 매력적인 복합문화관광지 육성과 연계화 17

3. 함께 살고싶은 지역 정주환경의 개선 및 마을가꾸기 18

4. 주민에 의한 주민체감형의 실질적 복지 구현 20

내용
Ⅰ. 청양군 도시쇠퇴 실태 분석

1. 청양군 일반 현황

• 청양군은 충청남도의 중앙에 위치하며, 충남의 알프스로 불릴만큼 산지 발달

- 청양군은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공주시와, 서쪽으로는 보령시, 남쪽으로는 부여군과, 예산군과 접하고 있음

- 청양군을 관통하는 차령산맥은 칠갑산을 중심으로 남동부의 정산지역과 북서부의 청양지역 으로 분리되며, 100m이하의 토지가 38.9%에 불과하여 토지이용에 매우 제한적임

• 행정구역 변천 : 삼한시대 마한에 속했으며, 삼국시대,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칠갑산을 경계로 산서지역인 청양과 산동지역인 정산을 중심으로 성장

- 삼한시대에는 마한에 속한 지역으로 지천 유역의 구로국, 무한천 유역에 사로국이 자리잡고 있었음

- 백제시대에는 열기현(정산면, 목면, 청남면, 장평면), 고량부리현(청양읍, 대치면, 운곡면, 남양면 일부), 사시량현(비봉면, 화성면, 홍성 장곡면 일대) 3개 현으로 분리

- 신라시대에는 웅진 도독부에 속해 있으며 백제시대의 3개현 명칭 변경(열기현→열성현, 고량부리현→청정현, 사시량현→신량현)

- 고려시대에는 청정현→청양현, 열성현→정산현, 신량현→려양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성종때 10도 12주 510현으로 개편: 청양군은 하남도의 청양, 정산현으로 감무를 두었음.

1018년에는 청양현은 천안부에 속하고, 전국의 22개 간선 역로 가운데 청양에는 유양역, 금정역이 자리했음

- 조선시대에는 1413년 청양현, 정산현이 되었고, 1664년에 청양현이 정산현에 편입되어 정양 현이 되었음. 1895년 각각 청양군과 정산군으로 됨

- 조선시대 이후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청양군과 정산군이 합치되어 청양군이 되었음(10면 115리), 1942년 청장면 청남면으로, 읍내면을 청양면으로 개칭, ․1992년 11월 2일 1읍 9면 182개 행정리로 현재까지 이름



- 이후생략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