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
홈 > 연구원간행물>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138호-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이해와 도입방안
- 기간
- 20141120 ~ 2014112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김원철,유준일
- 파일다운로드
- 2014-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이해와 도입방안-김원철,유준일.pdf
목차
1.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정의 및 특징
2.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도입 필요성
3. 수요응답형 교통체계가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4.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충남 도입을 위한 정책제언
2.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도입 필요성
3. 수요응답형 교통체계가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
4.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의 충남 도입을 위한 정책제언
내용
●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이하 DRT)는 이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운영방식으로 버스의 다인수송(多人輸送)과 택시의 문전(門前)서비스가 결합된 체계로 차량의 크기는 승용 및 소형승합차가 적합함
● 농어촌지역은 DRT 도입을 통해 고정된 운행노선과 운행시간을 갖는 기존 대형버스의 공차운행 감소와 간헐적 이용수요의 대응 그리고 집 앞까지의 문전서비스 제공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이 가능함
● DRT는 지역 주민이 체감하는 대중교통서비스의 만족도 향상(원하는 시간대에 이동, 버스 대기시간 감소, 정류장까지의 보행 불편 개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활동 증진으로 노인 소외 문제 해결, 위험상황에 처한 독거노인의 위기대응 등 지역 안전네트워크 확보, 면소재지 중심의 통행량 증가로 지역경제 활성화 등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큼
● DRT가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 DRT가 공공재로써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경제적 차원의 지속가능성 확보, △ 기존 버스운행체계 개선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실험연구(시범사업)의 지속적인 추진, △ 지역성과 DRT 운행 최적화를 위한 노하우가 축척된 DRT 전문인력 확보, △ 기존 버스체계와 DRT의 운행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지・간선제 도입, △ 기존 버스운행정보와의 연계체계 구축이 우선적으로 필요함
- 이후 생략
● 농어촌지역은 DRT 도입을 통해 고정된 운행노선과 운행시간을 갖는 기존 대형버스의 공차운행 감소와 간헐적 이용수요의 대응 그리고 집 앞까지의 문전서비스 제공으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이 가능함
● DRT는 지역 주민이 체감하는 대중교통서비스의 만족도 향상(원하는 시간대에 이동, 버스 대기시간 감소, 정류장까지의 보행 불편 개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활동 증진으로 노인 소외 문제 해결, 위험상황에 처한 독거노인의 위기대응 등 지역 안전네트워크 확보, 면소재지 중심의 통행량 증가로 지역경제 활성화 등 주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큼
● DRT가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 DRT가 공공재로써 자리매김할 수 있는 경제적 차원의 지속가능성 확보, △ 기존 버스운행체계 개선에 대한 지역주민의 의식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실험연구(시범사업)의 지속적인 추진, △ 지역성과 DRT 운행 최적화를 위한 노하우가 축척된 DRT 전문인력 확보, △ 기존 버스체계와 DRT의 운행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지・간선제 도입, △ 기존 버스운행정보와의 연계체계 구축이 우선적으로 필요함
- 이후 생략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