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정책지도
홈 > 연구원간행물>충남정책지도
(충남정책지도 제8호) 구제역시리즈3 - 2015~2016년 충남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환경 위험성 분석
- 기간
- 20160725 ~ 20160725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강마야,최돈정
- 파일다운로드
- 정책지도8호_구제역시리즈3_2015년~2016년 충남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환경 위험성 분석.pdf
목차
01 처리방식별 돼지구제역 매몰지 분포
02 매몰지의 침출수 위험성 : 하천 인접성
03 매몰지의 전염 및 확산 위험성 : 도로 인접성
04 매몰지의 악취 및 생활 불편 위험성 : 주거지 인접성
05 매몰지의 유실 및 붕괴위험성 : 산사태 위험지역 입지여부
06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종합 환경 위험성
02 매몰지의 침출수 위험성 : 하천 인접성
03 매몰지의 전염 및 확산 위험성 : 도로 인접성
04 매몰지의 악취 및 생활 불편 위험성 : 주거지 인접성
05 매몰지의 유실 및 붕괴위험성 : 산사태 위험지역 입지여부
06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종합 환경 위험성
내용
O 분석배경 및 목 적- 현행 돼지구제역 긴급행동지침(SOP)은 매몰지 입지선정에 있어 다소 불분명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음.
- 특히 하천, 도로, 주거지의 인접성 적용기준과 유실 및 붕괴에 대한 용어의 정의가 불분명하여 매몰지의 환경 위험성 파악에 한계가 존재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체분석 기준을 적용하여 충남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환경 위험성을 분석하고 사후 모니터링이 필요한 매몰지를 도출하였음.
O 주요 분석 내용
- 처리방식별 돼지구제역 매몰지 분포
- 매몰지의 침출수 위험성(하천 인접성)
- 매몰지의 전염 및 확산 위험성(도로 인접성)
- 매몰지의 악취 및 생활 불편 위험성(주거지 인접성)
- 매몰지의 유실 및 붕괴 위험성(산사태 위험지역 입지여부)
-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종합 환경 위험성
O 정책시사점
- 돼지구제역 매몰지와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관리 차원의 모니터링 근거마련
- 현행 돼지구제역 긴급행동지침(SOP) 상 매몰지 입지 선정 기준에 대한 과학적 체계마련 필요성 제시
- 특히 하천, 도로, 주거지의 인접성 적용기준과 유실 및 붕괴에 대한 용어의 정의가 불분명하여 매몰지의 환경 위험성 파악에 한계가 존재함.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체분석 기준을 적용하여 충남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환경 위험성을 분석하고 사후 모니터링이 필요한 매몰지를 도출하였음.
O 주요 분석 내용
- 처리방식별 돼지구제역 매몰지 분포
- 매몰지의 침출수 위험성(하천 인접성)
- 매몰지의 전염 및 확산 위험성(도로 인접성)
- 매몰지의 악취 및 생활 불편 위험성(주거지 인접성)
- 매몰지의 유실 및 붕괴 위험성(산사태 위험지역 입지여부)
- 돼지구제역 매몰지의 종합 환경 위험성
O 정책시사점
- 돼지구제역 매몰지와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관리 차원의 모니터링 근거마련
- 현행 돼지구제역 긴급행동지침(SOP) 상 매몰지 입지 선정 기준에 대한 과학적 체계마련 필요성 제시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