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홈 > 연구원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76호
- 기간
- 20160901 ~ 2016090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이상훈,이재언,조진환,김남웅,은재호,송승헌,김선태,전진식,강현수,정옥식,정봉희,송두범,박철희,여형범,명형남,전지훈,이지효,손효정
- 파일다운로드
- 열린충남-2016가을호.pdf
목차
02 권두언
석탄화력발전 문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강현수
06 특집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를 넘어
떠오르는 환경오염의 주범! 미세먼지 | 김선태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그리고 건강 | 명형남
석탄화력발전의 축소와 신재생에너지 확대 시나리오 | 이상훈
환경을 생각하는 미래 충남의 지역에너지 정책 | 여형범
37 충남논단
예비 마을기업제도의 필요성과 도입 방향 | 전지훈
46 충남마을기행
청정 갯벌 놀이터, 서산 중리어촌체험마을 | 정봉희
52 충남의 섬
새들도 쉬어가는 서쪽 끝 3형제 섬, 격렬비열도 | 이재언
60 열린마당
저성장 시대의 행복한 경제생활 | 조진환
공주 원도심 문화탐방 '공주 원도심에서 미래를 만나다' | 김남웅
제7회 전국해양문화학자 대회에 대한 단상 | 송두범
식물공장 현장견학 보고서-미래농업시장을 탐색하다 | 송두범
96 해외리포트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 영국의 Eden Project | 박철희
사진으로 보는 몽골의 자연 | 정옥식
118 상생+협력
한국 사회 갈등해소를 위한 과제 | 은재호
신재생에너지 동향 및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 | 송승헌
142 오피니언
아파도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 | 전진식
144 충남소식
150 연구원소식
155 충남 문화유산
전 자암 김구 벼루
석탄화력발전 문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강현수
06 특집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를 넘어
떠오르는 환경오염의 주범! 미세먼지 | 김선태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그리고 건강 | 명형남
석탄화력발전의 축소와 신재생에너지 확대 시나리오 | 이상훈
환경을 생각하는 미래 충남의 지역에너지 정책 | 여형범
37 충남논단
예비 마을기업제도의 필요성과 도입 방향 | 전지훈
46 충남마을기행
청정 갯벌 놀이터, 서산 중리어촌체험마을 | 정봉희
52 충남의 섬
새들도 쉬어가는 서쪽 끝 3형제 섬, 격렬비열도 | 이재언
60 열린마당
저성장 시대의 행복한 경제생활 | 조진환
공주 원도심 문화탐방 '공주 원도심에서 미래를 만나다' | 김남웅
제7회 전국해양문화학자 대회에 대한 단상 | 송두범
식물공장 현장견학 보고서-미래농업시장을 탐색하다 | 송두범
96 해외리포트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 영국의 Eden Project | 박철희
사진으로 보는 몽골의 자연 | 정옥식
118 상생+협력
한국 사회 갈등해소를 위한 과제 | 은재호
신재생에너지 동향 및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 | 송승헌
142 오피니언
아파도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 | 전진식
144 충남소식
150 연구원소식
155 충남 문화유산
전 자암 김구 벼루
내용
권두언
석탄화력발전 문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강현수
현재 충청남도 서해안에는 총 26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이후 생략
특집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를 넘어
떠오르는 환경오염의 주범! 미세먼지 | 김선태
들어가며
요즘 대기오염 분야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이다.
-이후 생략
충남논단
예비 마을기업제도의 필요성과 도입 방향 | 전지훈
들어가면서
마을기업 제도는 희망근로와 같은 일자리 창출로부터 시작된 정부의 지원정책 중 하나였지만, 2010년 이후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진화하면서 지역공동체 회복과 마을 주민중심의 경제활동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생략
충남마을기행
청정 갯벌 놀이터, 서산 중리어촌체험마을 | 정봉희
충남 서산에서도 바닷가 한 켠에 붙어있는 지곡면 중왕리에 중리어촌체험마을이 있다. 세계 5대 청정 갯벌중 하나인 가로림만에 자리잡은 이 마을은 갯벌과 낚시, 양식, 감태 등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후 생략
충남의 섬
새들도 쉬어가는 서쪽 끝 3형제 섬, 격렬비열도 | 이재언
2014년 지상파 방송과 중앙의 유수한 언론사들이 앞을 다투어 방문하면서 취재를 했던 섬 '서해의 독도 격렬비열도'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후 생략
열린마당
저성장 시대의 행복한 경제생활 | 조진환
나는 우리 주위의 평범한 사람들이 돈에 관한 주도권을 쥐고 현명한 경제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오랫동안 해왔다.
-이후 생략
해외리포트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 영국의 Eden Project | 박철희
서구사회에서는 한국보다 먼저 역도시와 산업의 쇠퇴 등으로 지역의 급격한 쇠퇴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문화를 이용하여 지역을 재생한 사례가 많다.
-이후 생략
상생+협력
한국 사회 갈등해소를 위한 과제 | 은재호
한국 정부의 정책 역량과 갈등관리 필요성
정책 역량은 국가 역량(state capacity)의 기본이며, "국가의 공적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국가제도의 능력"(Sikknik, 1991), 또는 "국가 구성원들에게 이로운 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의 제도적 역량"(Besley and Persson, 201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생략
오피니언
아파도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 | 전진식
아파도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만가구(18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생략
충남·연구원소식
'안전한 충남' 도 재난안전연구센터 가동
충남지역의 실정에 맞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안전 연구 활동을 수행할 '충남도 재난 안전연구센터'가 본격 가동된다.
-이후 생략
석탄화력발전 문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 강현수
현재 충청남도 서해안에는 총 26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이후 생략
특집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를 넘어
떠오르는 환경오염의 주범! 미세먼지 | 김선태
들어가며
요즘 대기오염 분야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이다.
-이후 생략
충남논단
예비 마을기업제도의 필요성과 도입 방향 | 전지훈
들어가면서
마을기업 제도는 희망근로와 같은 일자리 창출로부터 시작된 정부의 지원정책 중 하나였지만, 2010년 이후 '자립형 지역공동체 사업'으로 진화하면서 지역공동체 회복과 마을 주민중심의 경제활동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생략
충남마을기행
청정 갯벌 놀이터, 서산 중리어촌체험마을 | 정봉희
충남 서산에서도 바닷가 한 켠에 붙어있는 지곡면 중왕리에 중리어촌체험마을이 있다. 세계 5대 청정 갯벌중 하나인 가로림만에 자리잡은 이 마을은 갯벌과 낚시, 양식, 감태 등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후 생략
충남의 섬
새들도 쉬어가는 서쪽 끝 3형제 섬, 격렬비열도 | 이재언
2014년 지상파 방송과 중앙의 유수한 언론사들이 앞을 다투어 방문하면서 취재를 했던 섬 '서해의 독도 격렬비열도'를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후 생략
열린마당
저성장 시대의 행복한 경제생활 | 조진환
나는 우리 주위의 평범한 사람들이 돈에 관한 주도권을 쥐고 현명한 경제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오랫동안 해왔다.
-이후 생략
해외리포트
문화를 통한 지역재생 - 영국의 Eden Project | 박철희
서구사회에서는 한국보다 먼저 역도시와 산업의 쇠퇴 등으로 지역의 급격한 쇠퇴를 겪게 되었고, 이러한 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서 문화를 이용하여 지역을 재생한 사례가 많다.
-이후 생략
상생+협력
한국 사회 갈등해소를 위한 과제 | 은재호
한국 정부의 정책 역량과 갈등관리 필요성
정책 역량은 국가 역량(state capacity)의 기본이며, "국가의 공적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국가제도의 능력"(Sikknik, 1991), 또는 "국가 구성원들에게 이로운 정책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의 제도적 역량"(Besley and Persson, 2011)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후 생략
오피니언
아파도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 | 전진식
아파도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만가구(18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후 생략
충남·연구원소식
'안전한 충남' 도 재난안전연구센터 가동
충남지역의 실정에 맞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난안전 연구 활동을 수행할 '충남도 재난 안전연구센터'가 본격 가동된다.
-이후 생략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