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
홈 > 연구원간행물>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241호-충청남도 소득격차 원인과 개선방안
- 기간
- 20161006 ~ 20161006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홍일표,김철희,최지민
- 파일다운로드
- 1006-충남리포트 241호-김철희 최지민 홍일표.pdf
목차
1. 사회적 격차 해소의 필요성
2. 충청남도 소득 격차구조의 현황과 특징
3. 사회적 격차구조 개선을 위한 충남도의 대응
4. 향후 정책과제 제안
2. 충청남도 소득 격차구조의 현황과 특징
3. 사회적 격차구조 개선을 위한 충남도의 대응
4. 향후 정책과제 제안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득격차의 현황과 특징, 원인을 살피기 위해 경제활동인구조사, 충남사회조사,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음.
●분석결과에 따르면 충남도의 소득격차는 매년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산업별, 종사상 지위, 성별, 교육수준, 연령, 거주지 등 구조적요인들이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근로자의 정규직 여부가소득격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됨- 2015년에는 원하청 구조, 조직의 성과급 도입 여부, 조직 재무 건전성의영향력 증대
●정규직 여부 다음의 소득 격차 요인은 남녀 성별 요인과 교육 수준 요인임
●반면 산업유형 요인과 거주지 요인은 소득격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충남도의 소득격차 완화에 충남의 불평등 해소 대책들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예방과 대응 측면에서 각 실국별 대책들을 분석·평가하고, 노사민정협의체에 대해서도 살펴봄
●정책적 제안으로 불평등 감지체계의 구축, 역내 사회적 대화 및 기존 교섭체계의 개선, 차별해소를 위한 통합지원체제 구축 및 재분배정책 강화등을 제안함
- 이후 생략
●분석결과에 따르면 충남도의 소득격차는 매년 조금씩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산업별, 종사상 지위, 성별, 교육수준, 연령, 거주지 등 구조적요인들이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본 결과 근로자의 정규직 여부가소득격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됨- 2015년에는 원하청 구조, 조직의 성과급 도입 여부, 조직 재무 건전성의영향력 증대
●정규직 여부 다음의 소득 격차 요인은 남녀 성별 요인과 교육 수준 요인임
●반면 산업유형 요인과 거주지 요인은 소득격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
●충남도의 소득격차 완화에 충남의 불평등 해소 대책들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예방과 대응 측면에서 각 실국별 대책들을 분석·평가하고, 노사민정협의체에 대해서도 살펴봄
●정책적 제안으로 불평등 감지체계의 구축, 역내 사회적 대화 및 기존 교섭체계의 개선, 차별해소를 위한 통합지원체제 구축 및 재분배정책 강화등을 제안함
- 이후 생략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