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
홈 > 연구원간행물>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242호-충남 공적개발원조(ODA)사업 추진방향
- 기간
- 20161014 ~ 20161014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여형범
- 파일다운로드
- 1014-충남리포트 242호-여형범-충남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추진방향.pdf
목차
1. 공적개발원조(ODA)의 개념 및 국내 ODA 추진체계
2. UN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지자체 국제개발협력의 역할
3. 국내?외 지자체 ODA 사례
4. 충남의 ODA 사업 추진방향
5. 정책제언
2. UN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지자체 국제개발협력의 역할
3. 국내?외 지자체 ODA 사례
4. 충남의 ODA 사업 추진방향
5. 정책제언
내용
● 공적개발원조(ODA)는 국제개발협력 중 기술 협력, 물적 자금 등 각종 형태로 최빈국이나 개도국을 지원하는 개발원조 중에서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에서 규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국제개발원조 활동을 지칭함
● 국내 지자체들의 ODA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가 ODA 전략 및 통합추진체계 하에 추진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상황임. 이에 ODA에 대한 국내외적 규범에 충실하면서도 충남의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 ODA 추진이 필요함
● 충남 ODA 추진 방향으로 국내・외 ODA 동향을 반영한 충남 ODA 기본 원칙 정립, 충남 ODA 추진 조직 등 기반 조성, 충남 ODA 추진을 위한 역량 강화, 충남 ODA 중점사업 발굴을 제시하였음
● 충남 ODA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과 ODA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주체를 발굴하며, 행정적 기반(조례, ODA 전담 인력)을 보완하고, 기존 충남의 국제협력 사업들을 ODA 사업과 연계하고, 충남 국제개발협력기본계획(가칭)'수립이 필요함
- 이후 생략
● 국내 지자체들의 ODA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국가 ODA 전략 및 통합추진체계 하에 추진하도록 요구받고 있는 상황임. 이에 ODA에 대한 국내외적 규범에 충실하면서도 충남의 특성을 반영한 지자체 ODA 추진이 필요함
● 충남 ODA 추진 방향으로 국내・외 ODA 동향을 반영한 충남 ODA 기본 원칙 정립, 충남 ODA 추진 조직 등 기반 조성, 충남 ODA 추진을 위한 역량 강화, 충남 ODA 중점사업 발굴을 제시하였음
● 충남 ODA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국제개발협력과 ODA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주체를 발굴하며, 행정적 기반(조례, ODA 전담 인력)을 보완하고, 기존 충남의 국제협력 사업들을 ODA 사업과 연계하고, 충남 국제개발협력기본계획(가칭)'수립이 필요함
- 이후 생략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