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정책조성(세미나,워크숍등)
홈 > 연구보고서>연구/정책조성(세미나,워크숍등)
제2차 농촌산업 활성화 현장포럼(유재룡,최명선,양만규)
- 기간
- 20140328 ~ 20140328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유학열
- 연구자
- 권오성,정현희,김현숙,이영옥,김영수
- 파일다운로드
-
제2차 농촌산업 활성화 현장포럼 자료집(2014.3.28).pdf
발표1)충청남도 농촌산업(6차산업) 정책, 어디로 향하는가(2014.3)_유재룡.pdf
발표2)충남지역 농촌산업(6차산업) 우수 경영체 소개 발표192014.3)_최명선.pdf
발표3)충남지역 농촌산업(6차산업) 우수 경영체 소개 발표2-양만규.pdf
목차
I. 충청남도의 농업 차산업화 정책
1. 농업 6차산업화의 필요성
2. 충남 농업6차산업화사업의 기본 방향
3. 충남 농업6차산업화사업의 모델
II. 충남지역 농촌산업(6차산업) 우수 경영체 소개
1. 궁골영농조합법인 현황 및 연혁
2. 지역과 함께 공생발전하는 궁골식품
3. 제품 및 홍보 사례
4. 궁골식품의 현재와 미래
참고자료 - 서천 달고개 모시마을
가. 사업개요
나. 주요특징
다. 사업성과
라. 성공요인
마. 금후 발전방안
1. 농업 6차산업화의 필요성
2. 충남 농업6차산업화사업의 기본 방향
3. 충남 농업6차산업화사업의 모델
II. 충남지역 농촌산업(6차산업) 우수 경영체 소개
1. 궁골영농조합법인 현황 및 연혁
2. 지역과 함께 공생발전하는 궁골식품
3. 제품 및 홍보 사례
4. 궁골식품의 현재와 미래
참고자료 - 서천 달고개 모시마을
가. 사업개요
나. 주요특징
다. 사업성과
라. 성공요인
마. 금후 발전방안
내용
충남도 농업 6차산업화는 생산·가공·유통·체험을 통합한 모델로 농촌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마을 단위 두레기업과 지역 단위 가공센터 등 단계별로 사업을 추진한다.
정책 방향은 로컬푸드 유통, 공동브랜드 육성, 안전성 검사센터 구축 등으로 구체화되었으며, 생산자 중심 유통체계를 강화하고 지역문화디자인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지향한다.
궁골식품은 지역 농산물 기반의 전통 장류 생산 사회적기업으로, 특허 출원과 방송 홍보, 노인 일자리 창출, 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농촌-도시 간 소통에 기여하고 있다.
시레기된장국, 청국장분말 등 다양한 상품과 함께 다목적 체험관 건립을 계획 중이며, 이를 통해 고용 확대와 도농교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서천 달고개 모시마을은 모시를 테마로 마을 전체가 참여하는 가공 및 체험사업을 통해 공동체를 복원하고 농가 소득을 증대시켰다. 체험·축제·직판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해당 마을은 노령층 일자리 제공, 출자배당,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했으며, 모시 식품 다각화와 귀농귀촌 유입 확대를 통해 자립형 발전을 지향한다.
정책 방향은 로컬푸드 유통, 공동브랜드 육성, 안전성 검사센터 구축 등으로 구체화되었으며, 생산자 중심 유통체계를 강화하고 지역문화디자인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지향한다.
궁골식품은 지역 농산물 기반의 전통 장류 생산 사회적기업으로, 특허 출원과 방송 홍보, 노인 일자리 창출, 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농촌-도시 간 소통에 기여하고 있다.
시레기된장국, 청국장분말 등 다양한 상품과 함께 다목적 체험관 건립을 계획 중이며, 이를 통해 고용 확대와 도농교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서천 달고개 모시마을은 모시를 테마로 마을 전체가 참여하는 가공 및 체험사업을 통해 공동체를 복원하고 농가 소득을 증대시켰다. 체험·축제·직판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해당 마을은 노령층 일자리 제공, 출자배당,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성과를 창출했으며, 모시 식품 다각화와 귀농귀촌 유입 확대를 통해 자립형 발전을 지향한다.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