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현안과제

> 연구보고서>현안과제>완료된 현안과제

지방공공요금의 원가분석 및 요금관리 방안 연구

지방공공요금의 원가분석 및 요금관리 방안 연구

기간
20120202 ~ 20120315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신동호
연구자
백운성,임병철
파일다운로드
(현안과제) 지방공공요금의 원가분석 및 요금관리방안.pdf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물가관리 시스템 및 물가안정 정책동향
1. 국내 물가안정 관리정책 동향
2. 충남도 물가안정 관리정책 현황
Ⅲ. 지방공공요금의 최근 이슈 및 개선방안
1. 공공요금의 개념과 관련 이슈
2. 지방공공요금제도의 개선방안
Ⅳ. 결론 및 정책제언
부록. 지방공공요금 효율적 관리방안 워크샵(회의록)
내용
지방공공요금은 일상생활에 밀접한 서비스로 소비자의 체감도가 높지만, 중앙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장기간 동결 정책을 유지해 왔다. 이러한 정책은 서비스 질 저하, 공급기관 적자 누적 등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으며, 충청남도는 행정안전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경영 효율화, 원가 절감, 요금 동결 등을 추진하고 있다.

충남도는 지방공공요금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지방물가대책 상황실 운영, 책임관제 도입, 분야별 물가관리팀 구성, 착한가격 업소 확대 등 다양한 시책을 시행 중이다. 특히, 공공요금의 동결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불가피할 경우 인상폭 최소화, 인상 시기 분산을 유도하고 있다.

물가안정 정책은 물가상승률 관리뿐 아니라 지방공공요금의 원가분석, 정보공개, 주민 공청회 등 투명성과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상하수도 민간위탁, 소규모 상수도 통합 등 공기업의 경영합리화를 통해 요금 인상요인을 줄이는 노력도 병행되고 있다.

지방공공요금의 원가분석과 요금조정은 단기적인 물가조절 수단이 아닌 장기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하며, 요금현실화와 동시에 서비스 질 향상도 고려해야 한다. 단순히 가격만 억제하는 정책은 시장 왜곡을 초래하고 결국 소비자에게 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워크숍에서 제안된 개선방안은 야드스틱 규제 도입, 민간전문가 심의위원 참여 확대, 장기적인 수요예측 기반의 요금정책 수립 등이다. 지방정부는 조사와 분석을 통해 중앙정부의 일방적 지침에 대응할 수 있는 정책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공공요금은 물가관리 수단이기 이전에 필수공공서비스의 가격으로, 지방정부는 경영정보와 원가분석을 기반으로 한 합리적인 요금정책을 수립하고, 시장기능을 활용한 경쟁 유도와 서비스 질 향상에 중심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