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정책사업과제(특별)

> 연구보고서>정책사업과제(특별)>완료된 정책사업과제(특별)

공주시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공주시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기간
20210917 ~ 20211130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최정호
연구자
김홍수,박상현,조병욱
파일다운로드
공주시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가. 생활계
나. 축산계
다. 산업계
라. 양식계
마. 매립계
바. 토지계
사. 오염원 조사결과
아. 무허가축사 적법화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가. 지역개발부하량 소진현황
나. 개발사업 할당현황
다. 개발사업 준공현황
라. 개발사업 세부내역
마. 비점삭감계획 이행현황
5. 삭감부하량 관리실적
가. 삭감계획 이행실적
나.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다. 방류수 수질개선
라. 관거정비
마. 오염하천 정화사업
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사. 기타 삭감시설
6. 삭감시설 투자실적
가. 투자실적 종합
나. 환경기초시설
다. 관거정비
라. 오염하천 정비사업
마.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바. 기타 삭감시설
Ⅳ. 총평
Ⅴ. 조치사항 및 향후 관리계획
내용
이 보고서는 2020년도 충청남도 공주시의 금강수계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을 정리한 것이다. 공주시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금본H, I, K, 논산A 등의 단위유역에서 수질개선 목표를 설정하고 오염물질 삭감 및 지역개발부하량 관리를 통해 수질 개선을 추진해왔다.

해당 계획에서는 주요 수질 지표로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와 T-P(총인)를 사용하였으며, 논산A 유역이 유일하게 수질개선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수질 목표는 BOD 3.9mg/L, T-P 0.146mg/L로 설정되었고, 실제 성과는 목표 대비 양호하거나 근접한 수준을 달성하였다. 예컨대 2020년 평균 BOD는 3.8mg/L로 평가되었다.

환경기초시설인 하수처리장도 계획대로 운영되었으며, 갑사·경천·계룡마을 하수처리시설은 기준 배출수질을 만족하거나 초과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특히 BOD 기준을 최대 5.7mg/L까지 낮추는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전반적인 삭감시설 투자실적은 없었고, 환경기초시설 신설 외 별도의 오염원 삭감시설 투자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염원 분석에서는 생활계 인구는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축산계 오염원은 일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축 사육두수(예: 한우, 돼지, 가금류)는 2012년 대비 2020년에 급증해 관리 필요성이 커졌다. 그러나 폐수발생량이나 산업폐수 배출은 다소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지역개발부하량은 연도별 계획에 따라 점·비점 오염원 부하량이 적절히 관리되었으며, 2020년에도 사용부하량이 허용 한도 내에 머물러 잔여 부하량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로 보고되었다. 논산A 유역에서 총 15건의 개발사업이 협의되었고, 이 중 8건은 2020년 중 준공되었으며, 대부분 비점 오염으로만 소량의 부하를 발생시켰다.

결론적으로, 공주시는 2020년까지 수질개선 목표를 전반적으로 달성하였으며, 향후에는 추가적인 점·비점 오염원 전환이나 삭감시설 설치 필요성 없이도 현재 수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축산계 오염원의 지속적 증가에 대한 주의와 비점오염 저감시설 등 실질적인 투자 확대가 장기적으로 필요하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