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정책사업과제(특별)
홈 > 연구보고서>정책사업과제(특별)>완료된 정책사업과제(특별)
계룡시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 기간
- 20210914 ~ 2021113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김홍수
- 연구자
- 박상현,최정호,조병욱
- 파일다운로드
- 계룡시 2020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가. 생활계
나. 축산계
다. 산업계
라. 양식계
마. 매립계
바. 토지계
사. 당해연도 및 전년도 오염원 조사결과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가. 당해년도 지역개발부하량 소진현황
나. 개발사업 할당현황
다. 당해년도 개발사업 준공현황
라. 당해년도 준공 개발사업 세부내역
마. 개발사업 내 비점삭감계획 이행현황
5. 삭감부하량 관리실적
가. 당해년도 삭감계획 이행 실적
나. 환경기초시설 신·증설에 의한 삭감실적
다.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수질개선에 의한 삭감실적
라. 관거정비에 의한 삭감실적
마. 오염하천 정화사업에 의한 삭감실적
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에 의한 삭감실적
사. 기타 삭감시설 추진에 의한 삭감실적
6. 삭감시설 투자실적
가. 삭감시설 추진에 따른 투자실적
나. 환경기초시설(신·증설 및 방류수수질개선) 투자실적
다. 관거정비 투자실적
라. 오염하천 정비사업 투자실적
마.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투자실적
바. 기타 삭감시설 투자실적
Ⅳ. 총 평
Ⅴ. 조치사항 및 향후 관리계획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가. 생활계
나. 축산계
다. 산업계
라. 양식계
마. 매립계
바. 토지계
사. 당해연도 및 전년도 오염원 조사결과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가. 당해년도 지역개발부하량 소진현황
나. 개발사업 할당현황
다. 당해년도 개발사업 준공현황
라. 당해년도 준공 개발사업 세부내역
마. 개발사업 내 비점삭감계획 이행현황
5. 삭감부하량 관리실적
가. 당해년도 삭감계획 이행 실적
나. 환경기초시설 신·증설에 의한 삭감실적
다. 환경기초시설 방류수 수질개선에 의한 삭감실적
라. 관거정비에 의한 삭감실적
마. 오염하천 정화사업에 의한 삭감실적
바.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에 의한 삭감실적
사. 기타 삭감시설 추진에 의한 삭감실적
6. 삭감시설 투자실적
가. 삭감시설 추진에 따른 투자실적
나. 환경기초시설(신·증설 및 방류수수질개선) 투자실적
다. 관거정비 투자실적
라. 오염하천 정비사업 투자실적
마.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투자실적
바. 기타 삭감시설 투자실적
Ⅳ. 총 평
Ⅴ. 조치사항 및 향후 관리계획
내용
이 보고서는 2020년도 충청남도 계룡시의 금강수계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을 정리한 것이다. 해당 계획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수립되었으며, 대상 유역은 갑천A와 논산A이다. 두 유역 모두 BOD와 T-P 항목에서 목표수질을 달성하였으며, 갑천A는 BOD 3.4mg/L, 논산A는 3.8mg/L로 측정되었다. 총인 역시 두 유역 모두 목표기준 이하로 평가되었다.
계룡시는 주요 환경기초시설로 계룡하수종말처리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은 평균 유량 15,601㎥/일, BOD 2.3mg/L, T-P 0.055mg/L의 방류수질을 유지하여 기준치를 충족하거나 초과 달성하고 있다. 이외에도 개발사업에 따른 점·비점 오염물질 배출이 적절히 관리되고 있으며, 지역개발부하량도 잔여량이 충분하여 관리 여유가 있는 상태이다.
오염원 현황을 보면, 갑천A 유역은 생활계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으나 축산계 오염원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산업계 폐수는 갑천A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논산A는 정체 또는 소폭 감소했다. 가축 사육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오염부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삭감시설 운영 측면에서는 계룡공공하수처리시설을 통해 연간 24.02kg/일의 BOD를 감축한 실적이 확인되었으며, 비점오염 저감시설이나 오염하천 정화사업 등 기타 수단을 통한 삭감은 시행되지 않았다. 환경기초시설의 신·증설 계획은 일부 미이행되었지만, 방류수질 개선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020년도에 시행된 개발사업은 갑천A 10건, 논산A 15건으로, 대표적으로 계룡대실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장치형 저감시설 8개소를 설치하여 실질적인 오염물질 삭감을 수행하였다. 이 사업은 BOD 기준으로 11.61kg/일을 줄였으며, 유지관리대장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계룡시는 수질개선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수질오염총량 관리체계 하에서 오염원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에는 미이행된 삭감계획의 보완과 함께 환경기초시설의 지속적 투자, 비점오염 저감시설 확대 등이 필요한 과제로 제시된다.
계룡시는 주요 환경기초시설로 계룡하수종말처리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시설은 평균 유량 15,601㎥/일, BOD 2.3mg/L, T-P 0.055mg/L의 방류수질을 유지하여 기준치를 충족하거나 초과 달성하고 있다. 이외에도 개발사업에 따른 점·비점 오염물질 배출이 적절히 관리되고 있으며, 지역개발부하량도 잔여량이 충분하여 관리 여유가 있는 상태이다.
오염원 현황을 보면, 갑천A 유역은 생활계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으나 축산계 오염원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산업계 폐수는 갑천A에서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논산A는 정체 또는 소폭 감소했다. 가축 사육두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오염부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삭감시설 운영 측면에서는 계룡공공하수처리시설을 통해 연간 24.02kg/일의 BOD를 감축한 실적이 확인되었으며, 비점오염 저감시설이나 오염하천 정화사업 등 기타 수단을 통한 삭감은 시행되지 않았다. 환경기초시설의 신·증설 계획은 일부 미이행되었지만, 방류수질 개선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020년도에 시행된 개발사업은 갑천A 10건, 논산A 15건으로, 대표적으로 계룡대실지구 도시개발사업은 장치형 저감시설 8개소를 설치하여 실질적인 오염물질 삭감을 수행하였다. 이 사업은 BOD 기준으로 11.61kg/일을 줄였으며, 유지관리대장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계룡시는 수질개선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수질오염총량 관리체계 하에서 오염원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에는 미이행된 삭감계획의 보완과 함께 환경기초시설의 지속적 투자, 비점오염 저감시설 확대 등이 필요한 과제로 제시된다.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