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료된 정책지원과제

> 연구보고서>정책지원과제>완료된 정책지원과제

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기간
20220502 ~ 20221031
진행상태
완료
연구책임자
박혜은
연구자
오병찬,강경연,김성희,정진주
파일다운로드
2022 공공디자인센터 워크숍 자료집.pdf
목차
도시재생 INSIGHT
노란 희망 문화장터
POWER UP
PROCESS
Synergy of the people in DUK뫠BANG
Media & Outside activities
Before & After
Key Takeaway
Awards
Design Leader's choice
기차마을 전통시장 꽃피는 시장인 프로젝트
수요조사 및 디자인 퍼실리테이션
공공디자인 실험실 (Public Design Urban Laboratory)
실험 전략 및 과정
도심 속 캠핑
충남 공동주택 경관심의 기준 개발
경관심의 운영현황 및 필요성
심의기준 구성 및 체크리스트 방향
심의도서 작성방법 제시
내용
충남연구원이 주관한 2022 공공디자인센터 워크숍은 곡성군 기차마을 전통시장과 뚝방마켓을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 프로젝트와 공공디자인 실험 사례를 공유했다. 해당 사업은 곡성역, 버스터미널, IC 등 주요 거점을 연계하여 지역의 문화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경제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2016년부터 시작된 뚝방마켓은 협동조합 기반의 공동체로 발전하며 매년 4만 명 이상이 방문하고, 누적 매출 2억 원 이상을 기록하는 등 지역경제에 기여해왔다.

공공디자인 실험실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Tactical Urbanism과 도시침술적 방법론을 접목해 실험적 공간개입을 시도했다. 'Measure-Test-Refine' 3단계를 거쳐, 시민의 인식 전환과 공간 활성화를 유도하며 실제 도시 문제에 대한 실증적 해결책을 모색했다. 특히 도심 내 쉐도우 스페이스, 도심 속 캠핑, 만남의 숲길 같은 사례를 통해 공공공간의 재해석과 활용을 실험했다.

기차마을 전통시장 프로젝트는 디자인 퍼실리테이션, 서비스디자인 수요조사, 상인 참여를 통한 공간 아이디어 도출 등을 포함해 상권 활성화에 초점을 맞췄다. 상인들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인식 개선과 대표 콘텐츠 발굴, 장소 간 연계를 위한 아이디어 스케치 등을 통해 실질적인 디자인 방향이 제시되었다.

강남역 일대에서 진행된 실험은 시민, 민간, 행정이 협력하는 '샌드박스 거버넌스' 모델을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흡연 공간 개선, 쉼터 제공 등 물리적 개입을 통해 이용자 행동 변화를 유도했다. 실험 결과 시민의 만족도와 재이용 의사가 높았고, 공공공간에 대한 인식 개선 효과도 확인되었다.

충남도는 공동주택 경관심의 기준 마련을 위해 다양한 체크리스트를 구성하고 있다. 기존 국토부 가이드라인과 충남도의 실정을 반영해 '조망성', '조화성', '연속성', '공공성' 등을 기준으로 하는 경관 체크리스트가 개발되었으며, 공동주택 설계 시 경관요소들의 통합성과 정체성을 고려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이번 워크숍은 공공디자인이 단순한 시각적 개선을 넘어 시민 참여와 실험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도시공간을 만들어가는 과정임을 강조했다. 디자인은 도시의 복잡한 문제를 풀기 위한 수단이며, 시민의 행동을 유도하고 공공 가치를 실현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부서 : 각 연구책임자의 부서 담당자 : 연구책임자 연락처 : 직원연락처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