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획전략(2011년 이전)
홈 > 연구보고서>구기획전략(2011년 이전)
충청남도 어촌체험관광실태와 활성화 연구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 기간
- 20100101 ~ 20101231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책임자
- 성태규
- 연구자
- 이재현
- 파일다운로드
- R101201-충청남도 어촌체험관광실태와 활성화연구(성태규).pdf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분석틀 및 연구방법
4.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어촌관광의 이론적 논의
1. 어촌관광의 정의
2. 어촌관광의 특성
3. 어촌체험관광의 유형
제3장 어촌체험마을 조성사업
1. 도입배경과 정책목표
2. 추진현황
3. 추진실적
제4장 국내 선진 어촌체험마을 사례
1. 경기 화성 백미리어촌체험마을
2. 경기 안산 선감어촌체험마을
3. 시사점
제5장 충남 어촌체험마을의 실태
1. 태안 삼동(만대) 어촌체험마을
2. 태안 용신 어촌체험마을
3. 태안 대야도 어촌체험마을
4. 태안 영항(영목) 어촌체험마을
5. 서천 송석 어촌체험마을
6. 서천 월하성 어촌체험마을
7. 서천 당정리 어촌체험마을
8. 개선과제
제6장 지역주민 및 체험객 대상 설문
1. 지역주민대상 설문조사 분석결과
2. 체험객 대상 설문조사 분석결과
3. 설문분석의 시사점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광역)자치단체의 활성화방안
2. 체험마을에 의한 활성화방안
참고문헌
부 록 <설문지>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분석틀 및 연구방법
4. 선행연구 검토
제2장 어촌관광의 이론적 논의
1. 어촌관광의 정의
2. 어촌관광의 특성
3. 어촌체험관광의 유형
제3장 어촌체험마을 조성사업
1. 도입배경과 정책목표
2. 추진현황
3. 추진실적
제4장 국내 선진 어촌체험마을 사례
1. 경기 화성 백미리어촌체험마을
2. 경기 안산 선감어촌체험마을
3. 시사점
제5장 충남 어촌체험마을의 실태
1. 태안 삼동(만대) 어촌체험마을
2. 태안 용신 어촌체험마을
3. 태안 대야도 어촌체험마을
4. 태안 영항(영목) 어촌체험마을
5. 서천 송석 어촌체험마을
6. 서천 월하성 어촌체험마을
7. 서천 당정리 어촌체험마을
8. 개선과제
제6장 지역주민 및 체험객 대상 설문
1. 지역주민대상 설문조사 분석결과
2. 체험객 대상 설문조사 분석결과
3. 설문분석의 시사점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광역)자치단체의 활성화방안
2. 체험마을에 의한 활성화방안
참고문헌
부 록 <설문지>
내용
충남에는 7개 어촌체험마을이 조성되었으며, 마을별 여건과 문제점이 상이하다. 지역주민의 참여의지와 체험자원의 다양성에 따라 관광 성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갈등과 운영 미숙이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체험마을의 문제점은 추진방식, 교육, 홍보, 외부연계, 프로그램, 편의시설, 환경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며, 특히 체험마을 간 운영격차와 주민 간 협력 부족이 주요 장애로 분석된다.
광역지자체는 여건과 의지가 있는 마을을 선별해 집중 지원하고, 체험마을에 대한 객관적 평가체계를 구축하며, 홍보 지원, 편의시설 확충, 교육과 컨설팅을 통해 체계적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마을 차원에서는 내부 갈등 해소와 협력체계 구축, 홍보 확대, 체험프로그램의 다양화, 방문객 관리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 홍보와 사후관리를 통한 재방문 유도 전략이 강조된다.
우수사례로는 경기 백미리와 안산 선감마을 등이 소개되며, 이들은 자율관리어업과 정보화 마을, 주민 주도형 운영체계를 통해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충남 마을들과 유사한 조건에서 운영되므로 벤치마킹 가능성이 높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마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마을리더 육성, 외부자원과의 네트워크 강화, 수산물 판매 등 어업외소득 다변화 전략 등이 포함되며, 체험관광이 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체험마을의 문제점은 추진방식, 교육, 홍보, 외부연계, 프로그램, 편의시설, 환경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며, 특히 체험마을 간 운영격차와 주민 간 협력 부족이 주요 장애로 분석된다.
광역지자체는 여건과 의지가 있는 마을을 선별해 집중 지원하고, 체험마을에 대한 객관적 평가체계를 구축하며, 홍보 지원, 편의시설 확충, 교육과 컨설팅을 통해 체계적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마을 차원에서는 내부 갈등 해소와 협력체계 구축, 홍보 확대, 체험프로그램의 다양화, 방문객 관리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인터넷 홍보와 사후관리를 통한 재방문 유도 전략이 강조된다.
우수사례로는 경기 백미리와 안산 선감마을 등이 소개되며, 이들은 자율관리어업과 정보화 마을, 주민 주도형 운영체계를 통해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충남 마을들과 유사한 조건에서 운영되므로 벤치마킹 가능성이 높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마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마을리더 육성, 외부자원과의 네트워크 강화, 수산물 판매 등 어업외소득 다변화 전략 등이 포함되며, 체험관광이 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기반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담당부서 : 기획조정과 담당자 : 백승헌 연락처 : 041-840-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