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
홈 > 연구원간행물>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충청남도 로컬창조활동 확산을 위한 정책지원 방향vol. 387
- 기간
- 20231229 ~ 20231229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전지훈
- 파일다운로드
- 로컬창조활동_충남리포트플러스 (전지훈) 최종본.pdf
목차
1. 로컬창조활동 정책동향 검토
2. 로컬창조활동의 특성과 생태계 접근
3. 국내사례 종합
4. 정책 제언
2. 로컬창조활동의 특성과 생태계 접근
3. 국내사례 종합
4. 정책 제언
내용
윤석열 정부는 '지방시대' 국정과제를 통해 지역의 자생적 창조역량 강화를 주요 과제로 설정하였으며, 로컬브랜딩, 로컬콘텐츠타운, 로컬크리에이터 육성 등 다양한 부처의 연계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 자원과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로컬 창조활동을 촉진하는 정책을 확대 중이다.
로컬창조활동은 탈물질주의와 개인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확산, 지역 경험과 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등장하였다. 이는 지역성과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며, 골목 단위 생활권 중심의 창의적 비즈니스와 공동체적 경제 생태계를 지향한다. 지역 고유자원을 기반으로 청년세대의 창업, 정착, 사회적 기여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국내에서는 군산시 영화동, 공주시 제민천, 서울 연남동, 충주시 관아길 등에서 로컬창조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유휴공간을 활용한 창의적 공간 조성과 다양한 로컬 콘텐츠 확산이 공통된 특징이다. 특히 ㈜퍼즐랩(공주), ㈜지방(군산), 어반플레이(서울), 서피비치(양양) 등 로컬앵커기업의 활동이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로컬창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유휴공간 민간 활용 확대 및 운영체계 구축 ,로컬앵커기업 육성 및 업종 간 집적화 ,로컬 네트워크 형성 및 민간 주도의 교류 지원 ,지역대학과 연계한 청년 인재 육성 ,지방정부 보증 및 융자 등 공공재원 활용과 민간투자 유인책 마련 등이 제시되었다.
충청남도는 RISE체계와 연계하여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청년 인재 발굴 및 정착을 지원하고, 로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기반 마련과 투자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생활권 기반의 다주체 협력과 공동체 중심 운영이 핵심 전략으로 강조되었다.
로컬창조활동은 탈물질주의와 개인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확산, 지역 경험과 자산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등장하였다. 이는 지역성과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며, 골목 단위 생활권 중심의 창의적 비즈니스와 공동체적 경제 생태계를 지향한다. 지역 고유자원을 기반으로 청년세대의 창업, 정착, 사회적 기여가 결합된 형태로 나타난다.
국내에서는 군산시 영화동, 공주시 제민천, 서울 연남동, 충주시 관아길 등에서 로컬창조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으며, 유휴공간을 활용한 창의적 공간 조성과 다양한 로컬 콘텐츠 확산이 공통된 특징이다. 특히 ㈜퍼즐랩(공주), ㈜지방(군산), 어반플레이(서울), 서피비치(양양) 등 로컬앵커기업의 활동이 중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로컬창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과제로는 유휴공간 민간 활용 확대 및 운영체계 구축 ,로컬앵커기업 육성 및 업종 간 집적화 ,로컬 네트워크 형성 및 민간 주도의 교류 지원 ,지역대학과 연계한 청년 인재 육성 ,지방정부 보증 및 융자 등 공공재원 활용과 민간투자 유인책 마련 등이 제시되었다.
충청남도는 RISE체계와 연계하여 지역대학을 중심으로 청년 인재 발굴 및 정착을 지원하고, 로컬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 기반 마련과 투자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생활권 기반의 다주체 협력과 공동체 중심 운영이 핵심 전략으로 강조되었다.

담당부서 : 출판홍보팀 담당자 : 정봉희 연락처 : 041-840-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