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기후정보브리핑
홈 > 연구원간행물>정책사업지원단(센터)>충남기후정보브리핑
(종간)충남기후정보브리핑제 49호
- 기간
- 20201230 ~ 20201230
- 진행상태
- 완료
- 연구자
- 이상신,김종범,황은영
- 파일다운로드
- 충남기후정보브리핑_수소전기차_v1.0.pdf
목차
전세계적인 탈탄소 움직임
국내 이동오염원에 대한 관리대책
국내 친환경자동차 보급 계획
친환경자동차 중 수소(전기)차 보급의 장단점 분석
정책제언
부록 1. 저공해 및 무공해차량 기준
부록 2. 세계 주요국들의 수소차 및 충전소 보급계획
부록 3.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 로드맵
부록 4. 수소 제조방법
부록 5. 수소전기차의 안전성
국내 이동오염원에 대한 관리대책
국내 친환경자동차 보급 계획
친환경자동차 중 수소(전기)차 보급의 장단점 분석
정책제언
부록 1. 저공해 및 무공해차량 기준
부록 2. 세계 주요국들의 수소차 및 충전소 보급계획
부록 3.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 로드맵
부록 4. 수소 제조방법
부록 5. 수소전기차의 안전성
내용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가 심화되면서, 이를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친환경자동차 보급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수소전기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물만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적으로 유리하며, 국내에서도 2030년까지 수소차 10만대 보급과 충전소 210기 확충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기차에 비해 수소전기차는 충전시간이 짧고, 연비가 높으며, 배출가스가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충전 인프라 부족과 높은 운영비용, 안전성에 대한 우려 등 단점도 존재한다.
정부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과 특별법을 통해 노후차 조기폐차, 엔진교체 등 이동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의 저공해차 보급을 확대 중이다. 공공부문에서는 경유차 퇴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충전 인프라 확충과 가격정책을 통해 친환경차 보급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수소차는 석유 기반 전력소비 문제에서 벗어나 수소를 활용한 궁극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수소차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수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며, 수소충전소를 교통허브에 설치하고 융합형 충전소 허용을 통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민관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 구축으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을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다.
천안, 아산과 같은 대도시에 공해차량 제한지역을 도입하고, 순환버스 등의 중대형 차량을 수소버스로 전환하여 대중교통 중심의 친환경 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 수소버스 전용차선 및 충전비용 지원, 공공 분야에서의 우대 정책 등을 통해 친환경차 전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수소 연료 가격 안정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와 부생가스 활용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
정부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과 특별법을 통해 노후차 조기폐차, 엔진교체 등 이동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의 저공해차 보급을 확대 중이다. 공공부문에서는 경유차 퇴출을 추진하고 있으며, 충전 인프라 확충과 가격정책을 통해 친환경차 보급을 유도하고 있다. 특히 수소차는 석유 기반 전력소비 문제에서 벗어나 수소를 활용한 궁극적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수소차의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수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며, 수소충전소를 교통허브에 설치하고 융합형 충전소 허용을 통해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민관 협력을 통한 파트너십 구축으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을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다.
천안, 아산과 같은 대도시에 공해차량 제한지역을 도입하고, 순환버스 등의 중대형 차량을 수소버스로 전환하여 대중교통 중심의 친환경 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 수소버스 전용차선 및 충전비용 지원, 공공 분야에서의 우대 정책 등을 통해 친환경차 전환을 유도할 수 있으며, 수소 연료 가격 안정화를 위한 기술 고도화와 부생가스 활용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

담당부서 :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 담당자 : 이상신 연락처 : 041-630-3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