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의 주요하천 오염원인 분석
정책지원

충남의 주요하천 오염원인 분석

기간
2017. 09. 01 ~ 2017. 11. 30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최정호,조병욱,박상현
키워드
생활하수,축산폐수,산업폐수,토지배출,충남하천,수질오염,BOD,개선우선순위
다운로드

정책지도17호 (최종본)(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하천 수질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주요 하천의 오염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우선순위를 제시하는 정책지도를 제작하였다 분석 대상은 천안천 청지천 온천천 둔포천 금리천 성환천 아산천 매곡천 흥인천 등 도내 주요 하천이며 수질오염 지표로는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를 기준으로 삼았다 전반적인 수질 목표는 하천 BOD 기준 Ⅱ등급 이내약간 좋음 달성이다
자료에 따르면 충남 주요 하천의 수질오염 주요 원인은 생활하수가 약 70를 차지하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인구 밀집지역에서 하수처리시설이 부족하거나 노후화되어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주요 하천으로 흘러들어가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천안천과 온천천 아산천 등은 생활하수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하수처리 미비가 개선의 핵심 과제로 지목되었다
축산폐수는 전체 오염원의 약 15를 차지하며 홍성예산천안아산 지역의 축사 밀집지에서 높은 배출량이 확인되었다 예산군 금리천과 아산시 둔포천 등은 축산폐수의 영향이 큰 대표적 하천으로 나타났다 가축 사육두수의 변화에 따라 오염량도 증감하였으며 특히 돼지와 소의 분뇨가 높은 BOD 기여율을 보였다
산업폐수는 폐수처리율이 99에 달하지만 산업단지 밀집 지역에서는 여전히 수질오염에 일정 부분 기여하고 있다 천안 북부지역의 성환천과 천안천 등은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오염원이 하천에 영향을 미친 사례로 나타났다 다만 대부분의 산업폐수는 법적 기준에 따라 처리되기 때문에 다른 오염원에 비해 기여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토지에서 유출되는 오염물질도 주목되었다 대지 농지 산지 등에서 발생하는 토지배출수는 토지 이용 변화에 따라 BOD 오염 기여율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대지면적 증가가 두드러진 천안과 서산 지역에서는 토지 배출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는 도시화와 개발에 따른 비점오염원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보고서는 생활하수와 축산폐수가 수질 오염의 주된 원인임을 명확히 하며 하수처리시설 확충과 가축분뇨의 공공처리 유도가 최우선 과제라고 제안했다 동시에 복합적인 오염원을 가진 하천은 통합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수질 개선 목표 달성을 위해 행정구역 단위의 세부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목차

1 충청남도 주요하천 수질 개선 목표
2 수질오염 원인 분석 개요
3 수질오염 원인 분석Ⅰ 생활하수
4 수질오염 원인 분석Ⅱ 축산폐수 및 분뇨
5 수질오염 원인 분석Ⅲ 산업폐수공장
6 수질오염 원인 분석Ⅳ 토지대지 도로 농경지 등
7 수질개선 우선순위 선정
8 충남 정책지도 발간현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