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산군 2021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정책지원

금산군 2021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기간
2022. 10. 04 ~ 2022. 12. 16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
키워드
수질,금산군,BOD,T-P,유역,오염원,하수처리,삭감계획
다운로드

금산군 2021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1년도 충청남도 금산군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금산군은 20212030년을 계획기간으로 설정하고 금강수계 내 금본D E F 유등A 갑천A 유역을 대상으로 수질개선을 추진 중이다 주요 목표는 BOD 및 TP 저감이며 금본D E F는 BOD만 유등A는 BOD와 TP 모두 갑천A는 BOD만을 대상으로 한다 각 유역별로 점비점오염원의 삭감과 지역개발부하량 관리를 통해 목표 수질 달성을 도모하고 있다
2021년 수질평가 결과 모든 유역에서 평균 BOD 및 TP 수질은 설정 목표를 만족하거나 초과달성했다 특히 금본E F는 BOD 07 이하 유등A도 0607 수준으로 안정적이며 TP도 전반적으로 기준 이하를 유지했다 이는 환경기초시설 운영의 적정성과 오염원 관리 효과를 반영한 결과이다
다만 2021년 삭감사업 이행은 거의 전무했다 삭감목표 부하량 대비 실제 삭감 실적은 없었으며 공공하수처리시설 및 폐수처리시설의 신증설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개발사업 준공 현황 또한 0건으로 예정된 배출량이 실제 삭감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염원 현황에서는 축산 사육두수와 가금류 수가 여전히 많고 폐수배출업소 및 산업폐수 발생량도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에 따라 관리대상 오염원이 광범위하고 복합적인 구조를 가지며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규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021년 개발사업은 총 34건이 협의되었으나 실제 준공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삭감계획이 포함된 사례도 극히 적었다 삭감시설 설치 실적 역시 전무하며 대부분의 사업은 계획 수립 수준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부하량 저감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총평으로 금산군은 수질목표 달성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계획 대비 이행 실적이 저조하며 향후 실질적인 삭감사업 시행과 개발사업 연계 삭감시설 설치가 수질개선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변화 현황
4 오염부하량 평가
5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6 삭감계획 이행실적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