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변경수립 연구
현안

「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변경수립 연구

기간
2017. 11. 20 ~ 2017. 12. 08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최정호,박상현,조병욱
키워드
충청남도,가축분뇨,관리,기본계획,처리,환경,축산,자원화
다운로드

현안과제 성과품(2017일반-100)_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변경수립 연구_2017.12.01(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가축분뇨는 고농도 유기물질로 수질오염과 악취의 주요 원인이며 충청남도는 타 지역보다 단위면적당 가축 사육 두수가 높아 관리의 필요성이 크다 이를 반영한 중장기 관리계획 변경이 필요하다
2015년 기준 충청남도 가축분뇨 발생량은 하루 2만 263로 이 중 돼지가 495를 차지한다 시군별로는 홍성군 당진시 예산군이 전체 발생량의 446를 차지하며 돼지의 사육밀도와 분뇨 발생 비율도 가장 높다
가축분뇨는 자원화퇴비 액비 재활용 721 공공 및 정화처리 241로 처리되고 있으며 9개 시군에 공공처리시설이 운영 중이다 그러나 일부 지역은 무분별한 퇴비 적치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육밀식 기준을 초과하는 지역은 아산시 등 일부로 확인되며 허가대상 사육시설이 분뇨 발생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자원화율이 높은 반면 실제 적정처리 여부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과제로는 행정체계의 일원화 가축사육지역 제한 면적두수 기준 강화 자원화 시설 확대 공공처리시설 개선 비료 수요량에 기반한 적정 분배체계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계획은 20172025년을 3단계3년 단위로 나누어 수립되며 축종규모지역별 관리방향 제시와 함께 법령 개정 사항을 반영한 실천 가능한 체계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환경보전과 도민 건강 보호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한다

목차

총 론
1 배경 및 목적
2 충청남도 가축사육 및 가축분뇨 현황
3 충청남도 가축분뇨 관리계획
4 단계별 추진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