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8회 아시아미래포럼(CNI세미나2017-149)(배규식,신동호,김제선,김홍장)
연구정책조성/포럼

제8회 아시아미래포럼(CNI세미나2017-149)(배규식,신동호,김제선,김홍장)

기간
2017. 11. 15 ~ 2017. 11. 16
연구자
강현수,신동호
키워드
청년정책,당진시,일자리,창업지원,생활임금제,주거복지,커뮤니티,사회혁신
다운로드

세션2.사례및발표 - 김홍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세션2.토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세션2_지역의 일자리와 사회혁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프로그램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세션2.발제1. 지역산업발전과 일자리 창출 연계 전략 - 배규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세션2.발제2. 주민주도 일자리 창출 사례 및 향후 과제 - 신동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세션2.발제3. 지역사회 사회혁신 생태계 조성 전략 - 김제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청년 실업률과 출산율 악화 수도권 중심 일자리 문제로 인해 지방 청년층의 사회적 약자화가 심화되고 있다 당진시는 이를 극복하고자 지역 맞춤형 청년정책을 핵심 시정 과제로 삼고 추진 중이다
기계화와 자동화로 기업의 고용 능력이 한계에 다다르며 제조업 중심 지역구조는 청년 유출을 초래하고 있다 이를 반전시키기 위해 고부가가치 창업과 농업 분야에 청년 참여를 유도하고 창업 생태계 조성을 시도하고 있다
청년의 삶 전반을 고려한 설자리 일자리 살자리 놀자리 4대 분야 총 31개 청년특화 시책이 마련되었고 전담 부서와 조례 제정 청년센터 설립 정책 네트워크 운영 등 기반도 구축되었다
대표 정책으로는 맞춤형 청년 인턴제 청년취업사관학교 청년 창업지원센터 생활임금제 등이 있으며 청년의 전공 역량 강화와 고용 불안 해소 실질적인 자립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일자리 외에도 돌봄 주거 문화 등 다방면에서 청년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지원이 이뤄지고 있으며 청년 커뮤니티와 지역사회 참여도 활발히 장려되고 있다
당진형 청년정책은 선택과 집중이 아닌 종합적 접근을 통해 청년 자립을 돕는 데 방점을 두며 이러한 실험과 실행이 제도화돼 지역 자산이자 사회 전반의 변화 동력이 되기를 지향하고 있다

목차

I 추진배경
II 추진체계
III 추진내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