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서천군 해양산업 발전 기본계획
시군협력

서천군 해양산업 발전 기본계획

기간
2018. 03. 01 ~ 2018. 12. 31
연구책임자
김종화
연구자
김진영,목소리,박춘섭,고승희,신혜지
키워드
서천군,해양산업,해양관광,수산업,바이오클러스터,장항항,역량혁신,해양수산정책
다운로드

181226_(최종) 서천군 해양산업_최종보고서_v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서천군 해양산업 발전 기본계획20192030은 서해안권 중심지로서의 위상 강화를 위해 해양수산 자원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해양산업 전략을 수립한 장기계획이다 서천의 해양생태 수산자원 관광자원을 산업적으로 통합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이 목표다
비전은 서해안 해양산업 중심도시 서천으로 설정되었고 4대 추진전략은 지식집약형 해양신산업 가치확산형 수산산업 생태친화형 해양관광 미래대응형 역량혁신이다 이를 통해 해양산업의 다변화와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한다
해양신산업 부문에서는 장항항의 재정비 해양바이오 클러스터 조성 유휴항만공간 활용 고부가가치 해양산업 육성이 핵심 전략으로 제시되었다 수산부문은 스마트 양식 수산물 유통가공체계 구축 어촌특화 개발이 중심이다
해양관광은 춘장대동백정 해수욕장 복원 및 레저 인프라 확충 낚시어업 관광화 마리나항만 개발 등으로 구성된다 생태자원과 역사문화 콘텐츠를 연계한 관광벨트 조성도 병행된다
역량혁신 전략은 해양공간계획 수립 수산기술연구센터 설립 사회적경제 및 해양 벤처기업 육성 민관 협력 거버넌스 구축 등을 통해 추진된다 지역 내 전문 역량 강화와 협력체계 기반 확보가 주요 과제로 설정됐다
공간별 핵심 프로젝트로는 장항항 고도화 홍원 마리나항만 개발 김산업 특화 클러스터 구축 해양생명자원 거점 조성 등이 포함되며 연차별 투자계획과 우선순위도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실행력 확보를 꾀했다
이 계획은 서천군 해양정책의 실질적 방향성을 제시하며 해양수산관광환경이 결합된 지역 성장모델로 기능할 수 있도록 민관학 협력 기반을 갖추는 것을 중요한 전략으로 삼고 있다

목차

I 개요 및 현황분석
1 계획의 개요
배경 및 목적
범위 및 절차
연구체계
2 해양산업 정의 및 여건
해양산업의 정의 및 분류
해양산업의 여건변화
해양산업 상위계획 검토
3 해양산업 현황 및 특성
서천군 일반현황
서천군 해양산업의 현황
서천군 해양산업 특성 및 SWOT
II 비전 및 추진계획
1 비전 및 추진전략
핵심 방향
영역과 방법의 접근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2 세부 실천사업
지식집약형 해양신산업
가치확산형 수산산업
생태친화형 해양관광
미래대응형 역량혁신
3 공간별 핵심 프로젝트
공간계획
핵심프로젝트
III 관리 및 투융자 계획
1 사업의 우선순위
우선순위 원칙 및 방법
사업의 우선순위 평가
추진 일정
2 해양산업 조직체계
서천군 조직현황
조직체계 구성
3 관리 및 투융자 계획
해양수산 예산현황
투융자 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