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청소년 블루카본 체험 교육 프로그램
정책지원

청소년 블루카본 체험 교육 프로그램

기간
2018. 03. 30 ~ 2018. 12. 31
연구책임자
신우석
연구자
윤종주,윤영관
키워드
블루카본,청소년,교육,탄소흡수,바지락,기후변화,연안생태계,체험
다운로드

정책지원_청소년 블루카본 체험교육 프로그램.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연구센터가 추진한 청소년 블루카본 체험 교육 프로그램의 기획 배경 실행 과정 및 교육 효과를 정리한 결과물이다 프로그램은 기후변화 대응의 일환으로 블루카본연안 생태계의 탄소 흡수 역할에 대한 청소년 교육을 강화하고 현장 체험을 통해 연안 환경의 중요성을 체득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7년 NEAR 환경분과위원회에서 정식 안건으로 채택된 이후 2018년 충남 태안에서 시범 운영되었다
프로그램은 이론 교육과 현장 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참여자는 태안 안면고 안면도 지킴이 동아리 학생들과 지도교사였다 이론 교육에서는 블루카본의 정의 대상 생태계갯벌 해초지 염습지 등 탄소 고정 원리 등을 학습했고 현장 실습은 바지락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조사 활동으로 진행되었다 실습은 6월과 10월 총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은 바지락 치패 채집부터 양식 구조물 설치 생물 조사까지 수행했다
실습 결과에 따르면 바지락은 약 5개월간 평균 04cm 성장했으며 패각의 건중량은 085g 증가했다 특히 패각에 고정된 탄소량은 평균 1g이 늘어난 반면 육질의 탄소 고정량은 0008g 감소했다 이를 기반으로 바지락 1개체가 연간 252g의 탄소를 고정하며 이는 CO₂ 기준으로 연간 182g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충남 전체 바지락 양식장 면적을 기준으로 환산하면 연간 약 1만 7천 톤의 CO₂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블루카본 효과는 경제적 가치로 환산 시 약 43억 원에 달하며 산림 조성 효과69000157000그루의 나무 식재 효과 및 생활환경 개선 효과7239대의 승용차 배출량 상쇄로 비교된다 교육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해양 생태계가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청소년들에게 심어주었으며 바지락과 같은 패류 자원의 가치 전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보고서는 블루카본 교육이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지역 인식 제고 환경보전 참여 유도 그리고 해양 폐기물예 폐패각의 자원화 가능성 등 다양한 확장 효과를 지닌다고 강조한다 특히 향후 교육 확대 체계적 자료 축적 탄소 저감 정책 수립과의 연계 등 후속 전략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해양 생태계 기반의 탄소 감축이 현실적 수단으로 인정받는 과정에서 본 프로그램은 교육적 기반 마련의 시범 사례로서 의의를 지닌다
결론적으로 이 체험 교육은 단순한 환경 캠페인을 넘어서 청소년의 눈높이에 맞춰 과학적 탐구와 지역 자원의 활용을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평가된다 향후에는 다양한 지역과 생태자원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확산과 정책적 연계가 함께 추진될 필요가 있으며 해양 블루카본이 기후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과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제1장 서론
1 배경 및 필요성
2 범위 및 방법
3 교육 프로그램 주요 내용
4 기대효과
제2장 블루카본의 개념 및 대상
1 블루카본 정의
11 블루카본 개념
12 블루카본과 그린카본 비교
2 블루카본의 역할
21 탄소 흡수원으로서 역할
22 블루카본 흡수배출 매카니즘
3 블루카본 대상
31 국외 블루카본 대상
32 국내 블루카본 대상
제3장 청소년 블루카본 체험 교육 프로그램 실습
1 블루카본 이론 교육
2 현장 실습 개요
21 공간적 범위
22 현장 실습 방법
23 현장 실습 결과
24 바지락 탄소 고정량
25 바지락 내 이산화탄소CO₂ 고정량
26 바지락 탄소 저감 가치 비교
3 바지락 시식
31 바지락 칼국수 시식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