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열린충남82호(2018봄호)권두언
출판/열린충남

열린충남82호(2018봄호)권두언

기간
2018. 03. 11 ~ 2018. 03. 14
연구자
이승우
키워드
어촌,수산물,연안,정책,자원,발전,융복합,충청남도
다운로드

1.권두언_이승우_2018봄(82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어촌은 수산물 생산에만 의존하는 구조로 인해 부가가치가 낮고 도시와의 소득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어촌의 발전 가능성을 저해한다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어촌에 대한 수요도 변화하고 있으며 수산물 외에도 자연 역사 문화자원의 활용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어촌의 잠재력을 높일 수 있다
어촌 주민이 다양한 자원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상품화할 경우 어촌은 수산물 공급지 외에도 유형무형 상품의 공급지로 성장할 수 있다
충청남도는 해양건도 충남을 슬로건으로 설정하고 바다와 연안을 성장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다양한 지형과 교통접근성이 이를 뒷받침한다
연안 생태환경과 전통문화는 생태적 사회문화적 경제적 지속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자산이며 어촌의 다기능화를 위한 통합정책이 요구된다
충남 어촌의 미래는 인간 중심 정책 자원의 융복합 방문객이 가치에 대해 대가를 지불하는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실현 가능하다 어촌은 더 이상 낙후된 공간이 아닌 융복합의 중심공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목차

I 수산물 생산 중심 정책은 어촌 발전 저해
II 변화하는 수요 새로운 상품 개발 필요
III 해양건도 충남 충남 어촌의 밝은 미래
IV 융복합이 이루어지는 공간 어촌의 다양한 가치창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