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디자인충남
출판

디자인충남

기간
2018. 08. 22 ~ 2018. 08. 22
연구자
오병찬,방재성,박혜은,김성희
키워드
공동주택,공동체주택,공유,도시주거,디자인스튜디오,아파트,주거공간,다가구주택
다운로드

디자인 충남 소식지 6호(단면)완(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교통수단과 사무공간을 넘어 주거공간에서도 공유 개념이 확산되고 있음 서울 상수동의 프로젝트 하다는 낮에는 스튜디오 밤에는 다양한 식당으로 운영되는 대표적인 공유공간 사례임
공유는 자원이 부족한 도시 환경에서 비용 절감과 풍요로움을 동시에 제공하며 주거의 경우 단순한 공동주택을 넘어 공동체주택으로 변화 중임 이는 주거 기능을 넘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진화하는 흐름을 반영함
단독주택은 마당과 화장실을 공유하던 옛 형태부터 빌라형 다가구주택까지 다양한 유형이 포함되며 공동주택은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이 해당됨
아파트는 5층 이상 건물로 분류되며 시대에 따라 저층중층고층 기준이 변화함 과거 고층으로 불렸던 15층 아파트도 현재는 저층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
잠실주공아파트의 경우 14단지는 고층화 재건축이 이루어져 새 이름으로 바뀌었지만 5단지는 기존 15층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낮아 보임
고층이라는 개념은 상대적이며 도시의 건축환경 변화에 따라 동일한 높이의 건물도 시대에 따라 전혀 다른 인식을 갖게 됨 이는 주거 형태와 공동체 인식 변화와도 맞물려 있음

목차

주거공간을 공유하는 사람들
이토 도요의 공간적 사유를 통해 본 기후 미디어 코스모스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