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공주역은 이용객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낮은 통근 비율과 관광객 유입 부족으로 활성화에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교통망 부족과 편의시설 미비가 주요 문제로 지적된다
전체 이용객 중 자가용 이용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고 대중교통 이용률은 낮은 수준이다 특히 주중주말 모두 교통수단 불편이 주요 불만 사항으로 지목되었다
하차 목적은 귀가332와 가족친지 방문290이 가장 많았고 관광 목적은 주중주말 모두 15 내외에 불과했다 국립공주병원 방문도 일정 비중을 차지했다
산업단지 근로자 중 공주역을 이용하는 비율은 61에 불과하며 정주환경이 개선될 경우 공주 거주 의향을 보인 응답자는 432였다 이는 교육주거의료 인프라 확충 필요성을 시사한다
승하차자 모두 편의시설 음식점 안내시설 교통 연계 등에 대한 개선 요구가 컸으며 특히 버스 배차 시간 조정과 연계 노선 확대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중교통 확대 도로망 확충 운행시간 조정 관광상품 연계 관광지 할인 혜택 역 주변 상권 개발 전시공간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제안되었다
전체 이용객 중 자가용 이용 비율이 50 이상으로 높고 대중교통 이용률은 낮은 수준이다 특히 주중주말 모두 교통수단 불편이 주요 불만 사항으로 지목되었다
하차 목적은 귀가332와 가족친지 방문290이 가장 많았고 관광 목적은 주중주말 모두 15 내외에 불과했다 국립공주병원 방문도 일정 비중을 차지했다
산업단지 근로자 중 공주역을 이용하는 비율은 61에 불과하며 정주환경이 개선될 경우 공주 거주 의향을 보인 응답자는 432였다 이는 교육주거의료 인프라 확충 필요성을 시사한다
승하차자 모두 편의시설 음식점 안내시설 교통 연계 등에 대한 개선 요구가 컸으며 특히 버스 배차 시간 조정과 연계 노선 확대가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중교통 확대 도로망 확충 운행시간 조정 관광상품 연계 관광지 할인 혜택 역 주변 상권 개발 전시공간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제안되었다
목차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공주역 이용자 기초통계
3 설문의 개요 및 응답자 특성
4 설문조사 분석결과
5 공주역 활성화 방안
6 공주역 활성화 방안 세부의견
7 결론
2 공주역 이용자 기초통계
3 설문의 개요 및 응답자 특성
4 설문조사 분석결과
5 공주역 활성화 방안
6 공주역 활성화 방안 세부의견
7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양중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창업과 도전을 보장하는 기업생태계(김양중) 2015. 04. 24
충남 지역인재 육성방안 워크숍-지역경제를 이끄는 맞춤형 인적자본투자 정책방향 모색(김양중) 2015. 05. 08
충청남도 투자통상분야의 장?단기 비전과 정책방향 (김양중,김익성,오수용,박종찬) 2009. 12. 29
사회적경제연구회 제10회 워크숍 '충남사회적경제 생태계분석' (김양중,이은애,임준홍) 2011. 09. 22
충남 서비스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CNI세미나2017-099) (배동수,김양중,김국진) 2017. 09. 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