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기상관측 지점이 분포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군별 통계자료 제공 방식이 상이해 정보 이용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는 통계법상 세부 지침 부재가 주요 원인이다
기상청은 6개 종관기상관측소와 32개 방재기상관측소를 운영 중이며 충남도청은 서산지점 자료만 활용해 도 전체 기상자료로 제공하고 있어 대표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일부 시군은 관할이 아닌 인접 지자체나 타 광역시 자료를 활용하고 있으며 기관 간 자료 기준 측정 장비 품질관리 방식이 달라 통계의 일관성이 떨어진다
타 광역시도의 사례에서도 통합 지침이 없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충남은 이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표준화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지닌다
기상자료의 신뢰성과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각 시군의 자료를 종합하거나 보간법 등을 활용하여 지역별 통계자료를 생산해야 하며 방재기상자료의 활용도 검토되어야 한다
지역 기상기후 통계자료의 표준화를 위해 조례 제정과 세부 항목에 대한 지침 수립이 필요하며 실태조사 및 활용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도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기상청은 6개 종관기상관측소와 32개 방재기상관측소를 운영 중이며 충남도청은 서산지점 자료만 활용해 도 전체 기상자료로 제공하고 있어 대표성 및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
일부 시군은 관할이 아닌 인접 지자체나 타 광역시 자료를 활용하고 있으며 기관 간 자료 기준 측정 장비 품질관리 방식이 달라 통계의 일관성이 떨어진다
타 광역시도의 사례에서도 통합 지침이 없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충남은 이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표준화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지닌다
기상자료의 신뢰성과 대표성을 높이기 위해 각 시군의 자료를 종합하거나 보간법 등을 활용하여 지역별 통계자료를 생산해야 하며 방재기상자료의 활용도 검토되어야 한다
지역 기상기후 통계자료의 표준화를 위해 조례 제정과 세부 항목에 대한 지침 수립이 필요하며 실태조사 및 활용 분석을 통한 후속 연구도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목차
1 연구 개요
2 기상정보 제공현황
3 현 기상정보 통계자료의 문제점
4 타 광역시도 시군 사례
5 정책 제언
2 기상정보 제공현황
3 현 기상정보 통계자료의 문제점
4 타 광역시도 시군 사례
5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석한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01. 16
충청남도 미세먼지 저감 시책발굴 2019. 03. 01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04. 05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9. 12. 31
대기보전특별대책지역지정을 위한 석유화학단지 영향 분석 용역 2019. 10. 25
충남기후정보브리핑 2018. 08. 03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 대응관련 전문가 세미나(CNI세미나2021-33) 2021. 11.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