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청양군 청년종합실태조사 분석 및 지역청년문제 연구
현안

청양군 청년종합실태조사 분석 및 지역청년문제 연구

기간
2018. 07. 01 ~ 2018. 08. 30
연구책임자
박춘섭
연구자
송두범
키워드
청양군,청년,정책,고용,문화,주거,소득,교통
다운로드

0830(현안과제 제출) 청양군 청년정책연구(최종)-1(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연구는 청양군 청년 351명을 대상으로 삶 인식문화여가교통주거소득부채정책수요를 조사해 청년문제 해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자녀교육과 물가에는 높은 만족을 보였지만 문화체육의료취업 여건은 낮게 평가해 이탈 가능성이 크다
청양 청년들은 주말에 주로 TV 시청휴식컴퓨터 게임 등 실내 활동을 선택하며 여가시설 부족과 정보시간경제 제약을 이유로 들었다 관광문화예술 관람 등 실외 활동에 대한 욕구가 높아 프로그램 개발과 접근성 개선이 요구된다
교통 측면에서 60가 자가용을 이용하지만 대중교통 활성화 요구가 크다 버스 노선 확대 및 시간 연장 공유택시 도입 등을 통해 이동 편의를 높이면 사회 교류와 문화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주거는 단독아파트원룸 등에 거주하며 66가 공공주택월세 보조 등 지원을 원한다
소득과 부채 조사 결과 274가 평균 4665만 원의 부채를 지고 있으며 주택마련 목적이 427로 가장 많았다 월 약 120만 원을 주택 대출 상환에 쓰고 있어 저축상품금융설계 교육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등 금융정책이 필요하다
청년이 관심을 두는 정책 분야는 일자리627문화체육356교통217주거214 순이며 행복주택 입주 지원저금리 대출창업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다 온라인 의견 개진을 선호하되 오프라인 공청회 참여 의향도 있어 다양한 소통 채널이 필요하다
정책 방향은 문화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청년청양으로 단기적으로 청년의 날 지정공동체 문화프로그램플리마켓 등을 운영하고 장기적으로 컨테이너 문화공간 조성공공교통 확충공유택시 도입을 추진한다 또한 청년정책 네트워크와 위원회를 구성해 의견 발신 채널을 마련하고 패키지형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목차

1 연구개요
2 청양군 청년실태 분석
3 정책동향 및 사례 분석
4 청양군 청년정책 방향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